中, 한국 ‘탠덤 OLED’ 인력 스카우트 추진…外

[전자신문=윤건일 기자] 중국이 차세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술로 주목받는 ‘탠덤 OLED’ 인력 스카우트에 나섰다. 탠덤 OLED는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가 선도하고 있는 분야로, 한국 인력 영입을 통한 중국의 기술 추격이 우려된다.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가 탠덤 OLED 개발자를 찾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중국 헤드헌터를 통해 한국 엔지니어를 접촉하며 탠덤 기술을 개발했거나 과제를 수행한 인사 영입을 시도 중이다. 디스플레이 업계 관계자는 31일 “그동안 받은 여러 제안 가운데 탠덤을 채용 조건으로 적시한 건 처음 본다”고 말했다. LG디스플레이가 대형 OLED에 적용한 탠덤 구조. ETL, EML, HTL 등으로 구성된 각각의 층이 쌓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는 탠덤이 유망 기술로 떠오르자 기술과 노하우 확보를 위해 한국 인력 영입에 착수한 것으로 풀이된다. 탠덤은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가 주도하고 있는 기술이다. 특히 LG디스플레이가 세계 디스플레이 업체 가운데 유일하게 탠덤 구조 OLED를 상용화했다. 김기현 스톤파트너스 이사는 “애플이 아이패드에 탠덤 OLED 도입을 추진해 중국이 기술에 관심을 보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중국은 액정표시장치(LCD) 시장에 이어 OLED 투자를 강화하며 한국을 뒤쫓고 있다. 중국 최대 디스플레이 업체 BOE는 지난해 애플 아이폰에 OLED를 공급하는 데 성공했고, 국내업체의 안방과 같은 삼성전자 스마트폰에도 OLED를 납품하고 있다. BOE의 애플과 삼성 공급 물량은 내년에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돼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를 긴장시키고 있다.

[조선비즈=윤진우 기자] LG디스플레이가 스마트폰 카메라 구멍을 디스플레이 패널 아래에 숨기는 언더디스플레이카메라(UDC) 기술 개발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카메라 구멍을 없앤 풀스크린 구현을 놓고 업계 최초 UDC 상용화에 성공한 삼성디스플레이와 경쟁이 고조될 것으로 보인다. 29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는 2023년까지 빛 투과율 20%를 목표로 하는 UDC 양산 계획을 수립하고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UDC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에 탑재해 중소형 OLED 기술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UDC는 평소에는 카메라 구멍이 보이지 않다가 카메라를 사용할 때 모듈 부분의 패널이 투명하게 변하는 기술을 말한다. 카메라가 탑재된 부분의 디스플레이 픽셀 밀도를 낮추고, 투명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비교적 간단하게 풀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낮아진 픽셀 밀도가 흡사 모기장처럼 보이면서 밝은 화면을 볼 때 눈에 거슬린다는 부정적인 평가도 많다. LG디스플레이가 개발 중인 UDC는 해상도를 400PPI(Pixels Per Inch) 이상으로 구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눈에 거슬리는 낮은 픽셀을 보완하기 위한 조치다. 동시에 투명도를 높이기 위해 기존 폴리이미드(PI) 기판 대신 투명 PI 기판을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해상도와 빛 투과율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다. 전자업계는 LG디스플레이가 애플의 아이폰 탑재를 염두에 두고 UDC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LG전자가 스마트폰 사업을 정리한 상황에서 중소형 OLED 최대 고객사인 애플 아이폰에 탑재하는 것을 목표로 UDC 기술 개발에 나섰다는 것이다.

[연합뉴스= 김영신 기자] 세계 TV 시장에서 최상위 제품군인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TV 수요가 늘자 일본 JVC도 OLED TV 경쟁에 뛰어들었다. OLED TV 출시 업체는 2019년 17개에서 올해 20개로 늘었다. 그만큼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선두 주자인 LG전자의 TV 사업도 계속 성장하고 있지만, 업체 간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어 LG전자를 비롯한 관련 업체의 내부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 전자업체 JVC가 최근 유럽 시장에 첫 OLED TV(모델명 VO9100)를 55인치와 65인치 두 가지 크기로 출시했다. 4K(3천840×2천160) 해상도에 120헤르츠(Hz) 주사율을 지원하며 “무한대에 가까운 명암비, 픽셀 개별 밝기 제어 등으로 놀라운 화질을 제공한다”고 JVC는 설명했다. JVC는 일본을 대표하는 음향 영상 기기 업체 중 하나로, 일본 최초의 흑백 TV를 개발했다. 영상 기술 분야에서 세계 최초 기술을 대거 보유한 전통이 깊은 업체로 평가받는다. 2013년까지만 해도 OLED TV를 만드는 곳은 LG전자가 유일했으나 이후 일본의 소니, 파나소닉, 유럽 뱅앤올룹슨, 필립스, 그룬딕 등 유력 TV 업체들이 잇따라 뛰어들었고, 이번에 JVC까지 가세하면서 OLED TV를 판매하는 글로벌 TV 업체는 20개로 늘었다.

[전자신문=윤건일 기자] 중국의 디스플레이 굴기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향하고 있다. 정부 지원을 등에 업고 액정표시장치(LCD) 시장을 석권한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들이 애플 아이폰, 삼성전자 갤럭시폰에 OLED 공급을 확대하면서 우리나라 기업이 주도하고 있는 OLED로 진격하고 있다. 중국의 OLED 생산 능력은 규모가 시나브로 우리나라와 동등한 수준까지 올라왔다. 디스플레이 시장조사기관 스톤파트너스에 따르면 6세대 기준 한국과 중국의 OLED 생산 능력은 2020년 월 21만장 수준이다. 2022년에는 중국이 한국을 추월할 것으로 전망했다. DSCC도 2024년에 한국과 중국의 모바일 OLED 생산 능력이 역전될 것으로 예상했다. 물론 OLED의 경쟁력은 생산 능력이 전부가 아니다. 수율, 품질, 경제성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 예를 들어 같은 6세대 OLED 공장을 가동했는데 A사는 수율(양품의 생산비율)이 90%고 B사는 10%면 A사가 훨씬 뛰어난 경쟁력을 보유하게 되는 것이다.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가 세계 OLED 시장을 선도한 이유가 이 점에 있다. 그러나 중국이 생산 능력만이 아니라 수율, 품질에서도 약진을 거듭하고 있다는 데 주목해야 한다. BOE의 아이폰 공급망 진입 기간이 짧아지고, 갤럭시폰에 채택되는 모델이 느는 건 중국 OLED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지난 4월 보고서에서 “중국 디스플레이 산업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한층 더 발전하고 있다”면서 “중국의 OLED 생산량이 계속 확대되면 한국과 중국 간 격차가 줄어들고, 관련된 세부 기술 분야에서도 점차 우위를 점할 가능성이 짙다”고 분석했다.

[이투데이=송영록 기자] 삼성전자가 차세대 프리미엄 TV인 QD(퀀텀닷) TV를 내년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ITㆍ가전 전시회인 CES에서 처음 공개한다. 삼성전자는 내년 1월 5일부터 8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CES 2022’에서 ‘QD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TV 신제품을 전시할 계획이다. 먼저 CES 개막에 앞서 매년 열고 있는 삼성 TV 신제품 행사 ‘퍼스트룩’에서 제품을 처음 공개한 후, CES 삼성전자 부스에서 일반 관람객에게 선보일 예정이다. QD TV는 현재 삼성전자 TV 최상위 라인업인 ‘네오 QLED’보다 더 윗단에 배치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