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 임박 QD 디스플레이, 소재 공급은 누가…外

[전자신문=윤건일 기자] 이달 양산을 앞두고 있는 삼성디스플레이의 ‘퀀텀닷(QD) 디스플레이’ 서플라이체인(SCM)이 윤곽을 드러냈다. QD 디스플레이는 삼성그룹이 차세대 먹거리로 준비한 대형 패널이다. 파란빛을 내는 청색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위에 QD 층을 더해 색 재현력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QD 디스플레이는 크게 발광원층을 조정하는 전자회로(TFT층)과 청색빛을 내는 발광원, 발광원인 청색빛을 적색이나 녹색으로 전환해 빛을 내는 QD발광층으로 구성된다. QD 디스플레이의 핵심은 소재에 있다. 빛을 정교하게 만들어낼 수 있는 나노미터 크기의 QD 입자로 화질과 에너지 효율을 개선한다. 삼성SDI가 삼성디스플레이에 ‘QD 잉크’를 공급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삼성SDI가 잉크 형태로 QD를 납품하고,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를 잉크젯 프린팅으로 뿌려 QD 발광층을 만든다. 삼성SDI는 최근 배터리 회사로 익숙하지만, 전자재료 사업부의 반도체, 디스플레이 소재 역시 중점 사업군이다. 중소형 OLED 발광재료도 공급하고 있다. QD 잉크의 재료는 한솔케미칼이 납품한다. 한솔케미칼은 삼성전자 종합기술원과 협력해 QD 재료를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색 발광원, 즉 청색 형광재료는 SFC가 납품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SFC는 일본 호도가야화학과 삼성디스플레이가 합작한 회사다.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중소형 OLED 청색 형광재료도 대부분 SFC가 맡고 있다. 스마트폰용 OLED는 크기가 6인치 안팎인 데 비해 QD-OLED는 50~60인치대로 출시될 예정이다. SFC의 재료 공급량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QD 디스플레이에는 ‘필러(Filler)’라는 신규 소재도 사용돼 주목된다. 필러는 QD의 발광 효율을 향상하는 역할을 한다. 이 소재는 솔루스첨단소재가 공급을 맡았다. 솔루스첨단소재는 두산 전자재료 사업이 전신인 회사다. 두산에서 두산솔루스로 분리된 후 일명 진대제 펀드인 스카이레이크인베스트먼트가 인수해 현재의 솔루스첨단소재가 됐다. 필러가 디스플레이에 쓰이는 건 QD가 처음이다. QD 디스플레이 필수 소재로 자리매김할지 주목된다.

[중앙일보=김태윤 기자] 삼성전자가 3세대 폴더블폰인 갤럭시Z 폴드3·플립3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올해 3분기 북미 스마트폰 시장 1위 자리를 수성했다. 지난 9월 아이폰13을 출시한 애플을 1%포인트 차로 따돌렸다. 1일(현지시간)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어낼리틱스(SA)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3분기 북미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 38%로 1위를 지켰다.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포인트 증가했다. 애플 역시 같은 기간 점유율이 5%포인트 늘었지만 점유율 37%로 2위에 머물렀다. 이어 모토로라(10%), 알카텔(5%), BLU(3%) 순이었다. 켄 히어스 SA 연구이사는 “삼성은 선도적인 기술과 광범위한 제품 포트폴리오의 결합으로 북미 지역 출하량이 성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삼성 스마트폰은 프리미엄 갤럭시S21과 보급형 A시리즈를 기반으로 북미 지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안드로이드 기기”라며 “LG전자의 영업 종료도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특히 SA는 삼성전자의 갤럭시Z 시리즈에 주목했다. 우디 우 SA 이사는 “갤럭시Z 폴드3와 플립3는 북미에서 매우 강력한 판매자였다”며 “특히 플립3의 경우 3분기에 북미에서 가장 많이 팔린 5대 스마트폰 리스트에 오르는 것을 간신히 놓쳤다”고 밝혔다. 그는 “삼성전자 역시 부품 부족 문제에 직면해 있다”면서도 “삼성은 4분기에도 폴더블폰 제품의 판매 호조를 예상하고 있고, 블랙프라이데이 등 주요 프로모션이 플립3와 폴드3의 판매를 촉진할 것”으로 내다봤다.

[서울경제=강해령 기자]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사장이 회사가 백년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성장을 강조했다. 최 사장은 1일 사내 창립 9주년 기념방송을 통해 회사 임직원에게 “양보다는 질, 질보다는 격이 다른 우리만의 차별화된 제품과 기술로 100년 기업으로 성장하자”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 사장은 새로운 미래 성장 비전 3가지를 제시했다. 그는 “삼성디스플레이가 백년 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기술적 우월성, 경영의 지속가능성, 사업의 지속적인 경쟁력과 성장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 세 가지 비전이 잘 자리잡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회사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와 조직, 구성원들간에 ‘융합과 정렬’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선비즈=윤진우 기자] 15년 연속 TV 판매 1위를 기록 중인 삼성전자의 TV 사업이 올해 3분기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다. 전 세계 TV 수요가 둔화하면서 액정표시장치(LCD)를 판매 중인 삼성전자 TV 사업이 직격탄을 맞은 것이다. 반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을 탑재한 올레드 TV를 LG전자 TV 사업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성전자에서 TV 사업 등을 담당하는 VD(영상디스플레이) 사업부의 올해 3분기 매출은 7조8200억원을 기록, 전년 동기 8조2400억원과 비교해 5% 줄었다. 같은 기간 LG전자에서 TV 사업을 총괄하는 HE(홈엔터테인먼트)사업본부의 매출은 4조1815억원로 1년 새 14% 늘었다. 삼성전자 VD사업부 매출에는 약 2조원 규모의 사이니지(상업용 디스플레이)와 모니터 매출도 포함된다. 매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사이니지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는 걸 고려할 때 삼성 TV 매출의 하락폭은 5%를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LG전자는 사이니지와 모니터사업을 별도 사업부인 BS(비즈니스솔루션)사업본부에서 관리하고 있다. LG전자 BS사업본부는 올해 3분기 1조6899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는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3.9% 늘어난 규모다. 삼성전자와 LG전자 TV 사업이 엇갈린 성적표를 받아든 건 전체 매출을 견인하는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에서 차이가 났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프리미엄 TV 제품인 QLED에 LCD 기술을 개선한 미니 발광다이오드(LED) 패널을 사용하고 있는 반면, LG전자는 OLED 패널을 탑재한 올레드 TV를 프리미엄 제품으로 판매하고 있다. 그런데 LG 올레드 TV 판매량은 전년 대비 2배 넘게 늘어나는 등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삼성 QLED는 하반기부터 기대에 못 미치는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