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OLED KOREA Conference Day2 (Session highlights)
※유비리서치 홈페이지를 통해 올해 컨퍼런스 자료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유료) ※일부 연사자들의 자료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유비리서치 홈페이지를 통해 올해 컨퍼런스 자료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유료) ※일부 연사자들의 자료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유비리서치 홈페이지를 통해 올해 컨퍼런스 자료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유료) ※일부 연사자들의 자료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많은 분들이 관심과 궁금증을 갖고 계시는 삼성전자와 LG디스플레이의 협업입니다.
오늘 영상에서는 협업 과정에서의 걸림돌들과 올해 삼성전자의 TV 사업 전망에 대해 말씀드리려 합니다.
특별한 변수가 추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협업이 성사될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요?
OLED는 프리미엄 스마트폰의 대표 디스플레이로서 자리를 잡았습니다.
Apple 역시 스마트폰에 OLED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번 영상에서 삼성전자의 BOE의 OLED 패널을 구매함으로 생기는 영향에 대해 이야기 해보았습니다.
TCL에서 선보이는 Cinema Wall과 Ultra Slim 8K 제품입니다.
삼성전자의 기대작 QD-OLED TV 제품 출시가 임박했습니다.
이번 영상에서 QD-OLED 출시일정과 TV용 OLED시장에 대한 전망을 유비리서치의 중대형 마켓트랙과 함께 알려드렸습니다.
또한 유비리서치가 개최하는 4월 OLED KOREA Conference에서도 심도 있는
토론과 발표가 있을 예정입니다. 많은 참여와 관심 부탁드립니다.
CES 2022에서 만난 Micledi라는 기업입니다.
MicroLED 디스플레이 모듈 제품을 메인으로 하는 스타트업입니다.
앞으로 어떤 기술을 보여줄까요?
유비리서치에서 분기별로 발간하는 “1Q22 Small OLED Display Market Track”
자료입니다.
이번 영상은 10인치 이하 휴대기기에 사용되고 있는 OLED의
작년 실적을 살펴보았습니다.
또한, 올해 2022년부터 2026년까지 5년간의 전망에 대해서 말씀드렸습니다.
IT메가비전 2022에서 글로벌 공급망 재편, OLED 위기와 기회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디스플레이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과 디스플레이 산업의 지형적인 변화에 대하여 발표했습니다.
Hisense는 Mini-LED TV와 Laser TV 전시에 힘을 쏟은 것으로 보입니다.
70인치, 80인치 120인치, 100인치, 8K Laser TV, Mini-LED TV 등 다양한 제품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Hisense에 인수된 Toshiba 제품도 만나 볼 수 있었습니다.
Boe에서 나온 다양한 디스플레이 제품들입니다
OLED 후미등, 12.8inch OLED, 14.3inch 3D, Light sensing display, Dual cell, Mini-LED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입니다.
BOE의 디스플레이 추격 이 매섭습니다.
CES2022에서 여러 기업의 다양한 미래 자동차를 만나보았습니다.
미래의 자동차 디스플레이들은 매력적으로 보입니다.
우리에게 생소한 INDI, TOGG, VINFAST를 만나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Connected Mobility를 주제로 전시 되어 있었습니다.
미래자동차에 대한 전시입니다.
미래의 자동차 엔진과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었습니다.
올해는 CES2022에서 LG전자의 실제 제품들을 만나 볼 순 없었습니다.
QR을 통하여 인터넷을 통해 만나 볼 수 있었습니다.
코로나19가 미디어 산업과 미국의 디스플레이 산업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삼성의 Smart Monitor입니다
TV와 모니터의 핵심 기능들을 모아 놓은 제품입니다.
TV에 예술적인 감각을 더한 제품입니다.
TV의 프레임에 섬세함을 더하여 집안 분위기를 다양하고 다채롭게 꾸밀 수 있는 제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