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sung Display’s 1Q 2018 shipment declined, but it is expected to recover in 2Q.

According to UBI Research’s first quarter display market track, Samsung Display’s OLED shipments for smart phones dropped to 88 million units, down 26.0% from the previous quarter, and 4.7% year-on-year decrease.

On the other hand, the sales revenue was US$ 5.37 billion, down 32.4% from the previous quarter and 30.4% year-on- year increase.

<Samsung Display’s sales performance of OLED for Smartphone, 1Q, 2018>

For rigid OLED, the utilization rate of rigid OLED mass production lines dropped in 1Q due to the keeping adoption of LCD in Samsung Electronics’ entry-level model and the decline in demand from Chinese set makers. For flexible OLED, its capacity utilization rate also declined due to falling demand from Apple and sluggish sales of Galaxy S series .

UBI Research mentioned,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the sales were sluggish due to falling demand of set makers; however, the full-screen rigid OLED demand began to increase in April, and accordingly the utilization rate of rigid OLED production lines began to rise gradually. From June, the utilization rate is expected to recover to the previous year level. Also, the flexible OLED mass production lines will be likely to be in full operation since Samsung Electronics will start mass production of the next model and Apple will start mass production of new models.”

The overall OLED market was totaled as US $ 6.12 billion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of which the OLED market for smart phones was 91.1% and the market of OLED for TV was 5.7%.

The OLED market for smartphones is projected to reach 4.4 billion units in 2018, and Samsung Display is expected to hold a market share of 93.4%.

<2018 OLED market forecast>

삼성디스플레이 1사분기 출하실적 하락, 2사분기 회복 전망

유비리서치의 1사분기 디스플레이 마켓트랙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의 스마트폰용 OLED 출하량은 전분기 대비 26.0%, 전년대비 4.7% 감소한 8,800만개로 집계되었다.

반면 매출액은 전분기 대비 32.4% 감소, 전년대비 30.4% 증가한 53.7억 달러로 집계되었다.

<1사분기 삼성디스플레이 스마트폰용 OLED 실적>

Rigid OLED는 삼성전자의 보급형에 LCD 채택 유지와 중국 set업체의 수요감소로 rigid OLED 양산라인 가동률이 1사분기에 하락하였으며, flexible OLED도 Apple의 수요감소와 Galaxy S series의 실적 부진으로 가동률이 감소하였다.

유비리서치에 따르면 “1사분기는 set 업체들의 수요 감소로 실적이 저조하였지만, 4월부터 full screen rigid OLED 수요 증가로 rigid OLED 양산라인 가동률이 점차 상승하기 시작하였다. 6월부터는 전년수준으로 가동률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flexible OLED 양산라인에서도 삼성전자의 차기모델 조기 양산과 Apple의 신모델 양산이 시작되어 다시 풀가동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라고 밝혔다.

OLED 전체 시장은 2018년 1사분기 61.2억 달러로 집계되었으며, 이중 스마트폰용 OLED 시장은 91.1% 대면적 OLED 시장은 5.7%로 집계되었다.

2018년 스마트폰용 OLED 시장 예상규모는 4.4억개로 전망되며 삼성디스플레이가 93.4%의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8년도 업체별 스마트폰용 OLED 출하 점유율 전망>

상반기 OLED 시장 결산과 주요 기술 분석

OLED 시장조사 전문 리서치 업체인 유비리서치는 오는 6월 28일(목)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룸 3층에서  ‘상반기 OLED 시장 결산과 주요 기술 분석 세미나’를 개최한다.

2018년 상반기 OLED 시장을 결산을 통해 주요 이슈를 되짚어 보고 OLED 산업을 투자, 경제 관점으로 분석하여 2018년 하반기 시장과 기술을 전망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또한 이번 세미나는 차세대 OLED 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OLED 조명, Stretchable, wearable, AR/VR, Micro LED 등 관련분야 핵심 전문가분들을 모시고 OLED 미래 기술이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를 미리 확인해 볼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미나의 주제는 △’ 2018 상반기 프리미엄 TV시장 이슈와 전망’ △’2018 상반기 OLED 스마트폰 시장 이슈와 전망’ △ ‘폴더블 스마트폰과 BLUE TV 시장 전망’ △’차세대 OLED 어플리케이션인 스트레처블, 웨어러블 등’ △’가상 증강 현실 기기와 오토모티브 응용 현황 및 전망 ’ △ ‘마이크로 LED 기술 동향 및 전망’ △ ‘OLED 조명 기술 동향 및 전망’ 등의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이번 세미나는 빠르게 진화하는 디스플레이 시장의 전망과 기술 트랜드를 예측하여 업체들의 시장 현황과 기술 변화를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OLED 부품소재시장 2022년 US$ 37,000 million 전망

유비리서치에서 발간한 2018 부품소재 산업 보고서와 마켓트랙에서는 OLED 전체 부품소재 시장이 2022년까지 연평균 29%로 성장하여 US$ 37,000 million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OLED 부품소재 시장 전망>

본 보고서에서 전망한 전체 OLED 부품소재 시장은 panel 업체의 공급가능 물량 기준으로 산출되었으며 OLED에 들어가는 모든 부품소재를 포함한 수치이다.

전체 OLED 부품소재 시장은 2017년 US$ 9,794 million으로 집계되었으며 2018년은 35% 성장한 US$ 13,264 million로 전망된다.

주요 성장요인으로는 삼성디스플레이와 LG Display, 중국 panel 업체들의 Gen6 flexible OLED 양산라인 capa 증가를 꼽았다.

유비리서치는 “1사분기 삼성디스플레이의 가동률은 저조한 편이었지만 2사분기부터 정상화로 돌아서는 추세이며, LG Display와 중국 panel 업체들도 올해 본격적인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삼성디스플레이의 A4와 LG Display의 E5, E6, BOE의 B7라인의 정상가동 여부가 2018년 전체 부품소재 시장 성장여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밝혔다.

이번에 발간된 2018 부품소재 산업 보고서에서는 기판용 유리와 carrier 유리, PI, TFT용 유기재료 등을 비롯하여 모바일과 대면적 OLED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소재 20종에 대해 시장 전망하고 있다. 또한 보고서에서는 핵심소재들에 대한 산업동향과 주요 이슈들을 다루고 있으며 마켓트랙에서는 panel 업체별 예상 구매량과 구매금액을 전망하고 있다.

가상현실 주도하는 OLED 초고해상도 경쟁 시작됐다.

최근 VR 기기 set 업체들과 OLED panel 업체들이 mobile 기기보다 뛰어난 해상도의 OLED가 적용 된 VR 기기와 VR 기기용으로 제작 된 초고해상도 OLED를 선보이며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지난 CES 2018에서 공개 된 VIVE PRO가 최근 신제품 발표회를 통해 국내에 공식 런칭되었다. VIVE PRO는 전작인 HTC VIVE의 448ppi 보다 78% 향상 된 615ppi 해상도의 OLED가 탑재되었다.

<HTC VIVE Pro, Source: vive.com>

뿐만 아니라 최근 OLED panel 업체들도 VR 기기용 초고해상도 OLED를 다수 선보이고 있다. 지난 SID 2018에서 LG Display는 Google과 공동 개발한 1443ppi VR기기용 OLED를 공개했다. 기존의 OLED는 538ppi 수준이었으나 LG Display는 WRGB + CF 방식을 적용하여 UHD(3840 x 4800) 해상도를 구현했다.

<SID 2018에서 공개 된 LG Display의 1443ppi OLED>

Samsung Display도 SID 2018에서 1,200 ppi 해상도의 2.43 inch OLED panel 2개로 제작된 VR 기기를 전시하였다. RGB OLED가 적용 된 이 VR기기는 전년도 858ppi 보다 해상도가 더욱 더 향상 된 OLED가 적용되었다.

Sony도 지난 5월 4,032ppi의 VR 기기용 micro OLED인 ‘ECX339A’의 상용화를 발표하였다. 크기는 0.5 inch로 240fps까지의 프레임 속도 지원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산시기는 2018년 11월이다.

VR 기기는 눈과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가 매우 짧기 때문에, 해상도가 낮으면 디스플레이의 픽셀 무늬들이 격자 형태로 보이는 ‘모기장(Side door effect)’ 현상이 나타난다. 이로 인해 눈의 피로를 가중시키며 현실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panel 업체에서는 고해상도 OLED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Sony나 Facebook(Oculus VR) 같은 set 업체에서도 고해상도 OLED를 VR 기기에 적용하고 있다.

최근 들어 Set 업체 뿐만 아니라 OLED panel 업체들도 다양한 방식으로 기존보다 더욱 더 업그레이드 된 고해상도의 OLED와 VR기기를 다수 선보이고 있어 향후 더욱 더 높은 해상도의 VR용 기기가 상용화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The competition for ultra-high resolution of OLED that led virtual reality was started.

Recently, set makers are introducing VR devices with higher resolution OLED than mobile devices, and OLED panel makers are focusing attention on developing ultra-high-resolution OLEDs designed for VR devices.

VIVE PRO, which was unveiled at CES 2018, was officially launched in Korea through a new product presentation. VIVE PRO is equipped with 3K resolution and 615ppi OLED, which are upgraded 78% from 448ppi of the previous HTC VIVE.

<HTC VIVE Pro, Source: vive.com>

In addition, OLED panel makers has introduced a number of ultra-high-resolution OLEDs for VR devices. In SID 2018, LG Display unveiled an OLED for 1443ppi VR device, jointly developed with Google. The resolution of conventional OLEDs was at 538ppi level, but LG Display accomplished UHD (3840 x 4800) resolution by applying WRGB + CF.

<LG Display’s 1443ppi OLED, introduced in SID 2018>

Samsung Display also exhibited VR devices made with two 2.43-inch OLED panels at 1,200ppi resolution in SID 2018. The resolution of this VR device, applied with RGB OLED, is much higher than the previous year’s 858ppi.

Sony also announced the commercialization of ‘ECX339A’, a micro OLED for 4,032ppi VR devices, in May. It is also possible to support a frame rate of up to 240fps at 0.5 inches in size. The mass production schedule is November 2018.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eyes and the display is very short, a VR device shows a ‘side door effect’ in which the pixel patterns of the display are displayed in a lattice form when the resolution is low. As this problem increases eye fatigue and diminishes the reality, panel makers are focusing on high-resolution OLED development, and set makers such as Sony and Facebook (Oculus VR) are applying high-resolution OLEDs to the VR devices.

Recently, not only set makers but also OLED panel makers have introduced a number of high-resolution OLED and VR devices, which have been upgraded more than ever before. Attention is growing whether higher resolution VR devices will be commercialized in the future.

Xiaomi re-adopts OLED in two years.

After two years of the launch of Redmi Pro and Mi Note2 in 2016, Xiaomi adopted OLED again.

On May 31, Xiaomi unveiled its flagship smartphones such as Mi8, Mi8 Explorer Edition, Mi8 SE, and its smart watch Mi band3, to mark the eighth anniversary of its founding.

Xiaomi implemented the full-screen by applying a notch design to the Mi8. The size of the OLED applied to the Mi8 is 6.21 inch and the resolution is 2248×1080 (402ppi). The display area, which represents the percentage of display to smartphone, is 83.8%.

Compared with the iPhoneX, it features the same notch design, OLED application, and vertical dual camera. However, the size of the display is about 0.4 inch bigger, and the display area is about 0.9% wider. Unlike iPhoneX, there is a difference that there is a bezel at the bottom.

<Comparison between iPhoneX and Mi8, source: GSMARENA>

Compared to the Redmi Pro launched in 2016, the display increased by about 21%, DA by about 16%. In comparison with the Mi Note2, the display was widened by about 9% and DA by about 13%.

<Comparison of display size and display area for the smartphones applied with OLED>

The display of the Mi8 Explorer Edition has the same specifications as the Mi8. However, you can see the parts of the smart phone directly by eye because the back side is transparent. Like the VivoX21, fingerprint recognition is possible from the front of the display.

Xiaomi’s Mi8 SE applies with a 5.88-inch OLED with a resolution of 1080×2244 (423ppi), and Mi band3, the successor to Mi band2, has a 0.78-inch OLED.

The Mi8 and Mi8 SE is to be released on June 5 and 8 and will be sold for RMB 2,699 (about Korean Won 450,000) and RMB 1,799 yuan (about Korean Won 300,000 won) respectively. The release date of Mi8 explorer is not yet fixed and its supply price is expected to be RMB 3,699 (about Korean Won 620,000).

샤오미, 2년만에 OLED 다시 채용

샤오미가 2016년 출시한 Redmi Pro와 Mi Note2 이후 2년만에 다시 OLED를 채용하였다.

지난 31일(현지시간) 샤오미는 창립 8주년을 기념하는 플래그십 스마트폰인 Mi8, Mi8 Explorer Edition, Mi8 SE과 스마트 워치인 Mi band3을 공개했다.

샤오미는 Mi8에 노치 디자인을 적용하여 full-screen을 구현했다. Mi8에 적용된 OLED의 크기는 6.21 inch이며, 해상도는 2248×1080(402ppi)이다.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는 display area는 83.8% 수준이다.

iPhoneX와 비교해보면 노치 디자인과 OLED 적용, 수직형 듀얼카메라를 탑재한 점이 동일하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크기는 약 0.4 inch 커졌으며, display area는 약 0.9%가량 넓어졌다. 그리고 iPhoneX와는 달리 하단에 베젤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iPhoneX와 Mi8 비교, 사진출처: GSMARENA>

2016년 출시한 Redmi Pro와 비교해보면 디스플레이는 약 21%, DA는 약 16%가량 커졌으며, Mi Note2 대비 디스플레이는 약 9%, DA는 약 13%가량 넓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OLED가 탑재된 스마트폰의 display size와 display area 비교, 사진출처: GSMARENA>

Mi8 Explorer Edition의 디스플레이는 Mi8과 동일한 스펙을 갖는다. 그러나 뒷면이 투명하게 만들어져 있어 스마트폰의 부품소재들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vivoX21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전면에서 지문인식이 가능하다.

샤오미의 Mi8 SE에는 1080×2244(423ppi) 해상도를 가지는 5.88 inch의 OLED가 적용되었으며, Mi band2 후속 모델인 Mi band3에는 0.78 inch OLED가 탑재되었다.

Mi8과 Mi8 SE는 6월 5일, 8일 출시되어 각각 2,699위안(약 45만원), 1,799위안(약 30만원)에 판매될 예정이다. Mi8 explorer의 출시일은 미정이나 3,699위안(약 62만원)에 공급될 예정이다.

[SID 2018] OLEDON, presented about X-mixing plane source deposition technology for AMOLED efficiency enhancement.

In SID 2018, Hwang Chang-Hoon, CEO of OLEDON, announced a new plane source FMM deposition technology that can produce ultra-high resolution AMOLED of 2,250 ppi.

According to the announcement, the linear source currently applied to mass production has a problem of causing superimposition of fine adjacent patterns in a high resolution implementation due to a shadow distance of 3 μm. But Hwang said he succeeded in reducing the shadow distance of the patterns by 0.18 um using plane source, which is the smallest shadow distance ever introduced.

<Shadow effect comparison between current process and the process applied with the plane source, Source: OLEDON>

Hwang added that he developed ‘X-mixing’ technology in which the host and dopant thin films were separately deposited on the metal surface and then the host molecules and dopant molecules were automatically diffused through the plane evaporation to form the light emitting layer. Hwang commented, “It is not easy to control the composition of the dopant by using the linear source evaporation technology, which vaporizes the host material and the dopant material at the same time. However, since X-mixing technology can control the composi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a material utilization rate up to 4 times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SIMS data comparison between the emitting layer deposited by conventional method and the emitting layer deposited by the plane source, Source: OLEDON>

<Dopant gradient data of the emitting layer applied with X-mixing technology, Source: OLEDON>

Hwang said, “In case of green OLED produced by X-mixing technology, 40% improvement in the emitting efficiency was verified, compared to the existing technology. OLEDON is currently under development of the optimized X- mixing development for forming exciton and the mask aligner with new concept sub-micron precision.

<Luminance data for green OLED produced by X-mixing technology and green OLED produc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Source: OLEDON>

Finally, Mr. Hwang mentioned that based on the development results, he plans to install a plane source FMM evaporator capable of manufacturing ultra-high resolution micro OLED devices in Dankook University.  (Reference: OLEDON homepage: www.oledon.co.kr)

Sony, UXGA 해상도의 0.5 inch micro OLED 상용화 발표

Sony는 UXGA 해상도의 0.5 inch OLED micro display인 ‘ECX339A’의 상용화를 발표하였다. Sony는이 제품이 세계에서 가장 작은 6.3 um 픽셀 피치(pixel pitch)를 달성하여 이전 제품인 ECX337A”(0.5 인치 QVGA (1280 × 960) 대비 1.6배의 고해상도 구현에 성공하였다고 밝혔다.

<Sony의 0.5 inch micro OLED ‘ECX339A’, Source: sony.co.jp>

또한, 기존 대비 50% 전압에서 동작하는 새로운 구동 회로가 적용되어 저전력 구동과 함께 dual-line progressive 구동 방식을 통해 240fps까지의 프레임 속도 지원도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신 제품(좌)과 기존 제품(우) micro OLED 해상도 비교, Source: sony.co.jp>

Sony에 따르면, 기존의 micro display의 고해상도화는 픽셀 피치 축소에 따른 화질 저하와 시야각 특성 악화 등의 문제가 있었으나 Sony의 트랜지스터 레이아웃과 프로세스의 최적화, 보정 회로 적용을 통해 이를 개선하였다고 밝혔다. 또한, color filter를 직접 실리콘 기판에 형성하여 발광층과의 거리를 줄이고, color filter의 색 배치를 고안하여 시야각 특성을 향상하고 고해상도를 실현하였다고 설명했다.

<신 제품(좌)과 기존 제품(우)의 구조와 시야각 특성 이미지, Source: sony.co.jp>

ECX339A의 예정 양산시기는 2018년 11월이며 샘플 가격은 50,000엔(세금 별도)로 책정 되었다. Sony는 이번 제품이 화질 요구가 가장 많은 하이엔드 카메라와 가상현실용 HMD(head mounted display)에 적용 될 것으로 예상했다.

<ECX339A 주요 사양, Source: sony.co.jp>

Sony, announced the commercialization of 0.5-inch micro OLED with UXGA resolution

Sony announced the upcoming release of the ‘ECX339A’, a 0.5-inch OLED micro-display with UXGA resolution. According to Sony, it has achieved the world’s smallest pixel pitch of 6.3 μm, enabling a resolution 1.6 times higher than its predecessor, “ECX337A “(0.5-inch QVGA (1280 × 960)).

<Sony’s 0.5 inch micro OLED ‘ECX339A’, Source: sony.co.jp>

By employing newly-designed peripheral circuits that operate on half the voltage of previous model, it supports a high frame rate of up to 240 fps, with dual line progressive driving technique and low power operation.

<Comparison of OLED resolution between new product(left) and previous product(right), Source: sony.co.jp>

According to Sony, the high resolution of the existing micro display had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in picture quality and deterioration in viewing angle due to pixel pitch reduction; however, they have been improved by Sony’s transistor layout, process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 circuit. In addition, the color filter is deposited directly on the silicon substrate, reducing its distance from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filter’s color array has been modified to secure the viewing angle properties while achieving high resolution.

<Structure and viewing angle image, new product (left) and previous product (right), Source: sony.co.jp>

The mass production schedule for the ECX339A is November 2018, and the sample price is set at JPY 50,000 (Tax not included). Sony expects this product to be applied to high-end cameras and head-mounted displays for virtual reality, which require the highest picture quality.

<ECX339A, key specifications, Source: sony.co.jp>

 

[SID 2018] OLEDON, AMOLED 효율 향상용 X-mixing 면소스 증착 기술 발표

SID 2018에서 OLEDON의 황창훈 대표는 2,250ppi의 초고해상도 AMOLED를 제작 할 수 있는 새로운 면소스 FMM 증착기술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현재 양산에 적용 중인 리니어 소스는 3um의 섀도우 거리(shadow distance)로 인해 고해상도 구현 시 미세 인접 패턴들의 중첩을 발생시키기는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황대표는 면소스를 이용해 패턴들의 섀도우 거리를 0.18 um까지 줄이는데 성공하였다고 밝혔으며, 이는 현재까지 발표 된 섀도우 거리 중 가장 최소의 섀도우 거리라고 설명했다.

<기존 공정과 면소스를 이용한 공정의 섀도우현상(shadow effect) 비교, Source: OLEDON>

아울러 황대표는 호스트박막과 도판트박막을 따로 금속면에 증착 한 후 면증발을 통해 호스트 분자와 도판트 분자가 자동 확산되어 발광층이 형성되는 ‘X-mixing’기술을 개발하였다고 발표하였다. 황대표는 “기존 기술인 호스트 물질과 도판트 물질을 동시에 기화되는 리니어 소스 증착기술로는 도판트의 조성 제어가 쉽지 않으나, X-mixing 기술은 조성 제어가 자유자재로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대비 4배까지 향상 된 물질 사용률 달성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기존방식으로 증착 된 발광층과 면소스로 증착 된 발광층의 SIMS 데이터, Source: OLEDON>

<X-mixing 기술로 얻은 발광층의 dopant gradient 데이터, Source: OLEDON>

황대표는 “X-mixing 기술로 제작한 green OLED의 경우 기존 기술보다 40% 향상 된 발광효율을 확인하였다”고 언급하며 “OLEDON은 현재 소자의 발광효율향상을 목적으로 엑시톤형성의 최적화 된 X-mixing 개발과 신개념의 sub-micron 정밀도를 지닌 mask aligner를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X-mixing 기술로 제작 된 green OLED와 기존 방식으로 제작 된 green OLED의 발광 데이터, Source: OLEDON>

마지막으로 황대표는 이번 개발결과를 토대로 초고해상도 마이크로 OLED 소자의 제조가 가능한 연구용 면소스 FMM 증착기를 단국대학교내에 설치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참고:OLEDON사의 홈페이지 www.oledon.co.kr)

[SID2018] 중국의 깜찍한 OLED 반격

한국 디스플레이 업체들의 독점으로 여겨졌던 flexible OLED 시장에 중국 패널 기업들의 참여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번 SID 전시회에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중국 패널 기업들이 대거 flexible OLED를 전시한 것이다.

Flexible OLED를 생산중인 중국 OLED 대표 기업인 BOE는 foldable OLED를 중심으로 전시회를 구성했다. 5.99인치 FHD in-folding OLED와 7.56인치 QXGA out-folding, 6.2인치 WQHD in-folding 제품을 공개했다.

OLED 전문 기업인 GVO는 보다 적극적으로 다양한 flexible OLED 패널과 응용 제품을 공개하였다.

Out-folding 타입의 7.2인치 foldable OLED는 곡률반경(bending radius)이 1.6mm로서 333ppi이며 add-on 방식의 touch를 사용하고 있으며 전체 두께는 0.2mm이다.

BOE와 GVO는 flexible OLED를 아직 소량 생산하고 있지만 전시회에 공개된 제품들은 모두 뛰어난 기술력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SID2018] Samsung display’s OLED technology, one step closer to full screen

At the SID2018 exhibition in Los Angeles, a new concept OLED with no front speakers on the Smartphone was introduced.

Samsung Display’s new “Sound on display” removes the speaker at the top of the smart phone. Instead, it has a piezo electric actuator on the back of the panel that can turn the electrical signal into vibration. This is the mechanism by which the actuator vibrates the OLED panel to produce sound. It is the same method as LG Display’s “Crystal sound OLED”.

When this technology is utilized, the speaker can be removed from the front of the smart phone, resulting in a wider display area. Following the trend that the home button is embedded in the display, OLED will continue to evolve in the direction that the speaker is also embedded in the display.

TCL announced “Establishing large-area OLED panel production plant”, is solution processed RGB OLED mass production accelerated?

China TCL will invest RMB 42.8 billion (US$ 6.71 billion) in Shenzhen to establish a factory for large-area OLED panel production. According to South China Morning Post, TCL recently announced that it will produce 90,000 units on the basis of 70-inch panel in the new production line of Gen 11 (3370 mm x 2940 mm) with the goal of mass production in March 2021 in the data submitted to the Shenzhen Stock Exchange. The main products are to be known as 65-inch and 75-inch OLED panels, and 65-inch, 70-inch and 75-inch display panels with 8K resolution.

TCL will form a partnership with the China Development Fund for the necessary financing and will set up a new production line at TCL’s semiconductor subsidiary with RMB 20.3 billion.

Large-area OLED to be produced by TCL is expected to adopt solution process RGB. At the ‘4th OLED Korea conference’ hosted by UBI Research in March, James Lee, deputy chief engineer of TCL mentioned about the development of next-generation premium TV with the screen size of 70-inch or more and 8K resolution, based on the solution process.

Lee said, “The price difference between OLED TV and premium LCD TV is estimated to be reduced to 1.4 times when the price of large-area OLED panel is lowered by the operation of LG Display’s Gen 10.5 plant in 2020. We are developing solution process technology for large area OLED and it will be applicable to Gen11 factory. ”

Gen 11 production line is capable of producing six sheets of 75-inch OLED panels, being able to achieve a yield three times higher than Gen 8.5 production line and a cutting efficiency of over 95%.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large-area OLED panels with a real RGB structure instead of the WRGB structure when solution process is applied. Based on this, TCL emphasized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Gen 11 solution process OLED mass production line is essential. Meanwhile, TCL has jointly established JUHUA Printing Display Technology with Tianma, a Chinese company, in 2016 through CSOT, which is a subsidiary of TCL, and is continuously developing the inkjet printing process by a Gen 4.5 R&D pilot plant.

TCL “대면적 OLED panel 생산 공장 신설” 발표, solution process RGB OLED 양산 가속화 되나

중국 TCL이 선전에 428억 위안(67억 1천만 달러)을 투자하여 대면적 OLED panel 생산을 위한 공장을 신설한다.

사우스차이닝모닝포스트에 의하면, TCL은 최근 선전 증권거래소에 제출한 자료에서 2021년 3월 양산을 목표로 Gen 11(3370 mm x 2940 mm) 신설 양산 라인에서 70 inch panel 기준으로 월 9만대를 생산한다고 밝혔다. 주력 제품은 65 inch와 75 inch OLED panel과 8K 해상도의 65 inch, 70 inch, 75 inch display panel 인 것으로 알려졌다.

TCL은 자금 조달을 위해 중국 지원 개발 기금과 파트너쉽을 맺을 것이며, TCL 반도체 자회사에서 203억 위안을 들어 새로운 생산 라인을 설립 할 것으로 알려졌다.

TCL이 생산 할 대면적 OLED는 solution process RGB 방식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3월 유비리서치가 주최한 ’4th OLED Korea conference’에서 TCL의 James Lee deputy chief engineer는 solution process를 기반으로 70 inch 이상의 대형 화면과 8K 해상도의 차세대 premium TV 개발을 언급한 바 있다.

Lee deputy chief engineer는 “2020년 LG Display의 Gen 10.5 공장이 가동되어 대면적 OLED panel의 가격이 하락하게 되면 OLED TV와 premium LCD TV의 가격 차이는 1.4배 수준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며, “TCL은 현재 대면적 OLED용 solution process 기술을 개발 중으로 Gen11 공장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Gen 11 생산 라인에서는 75 inch OLED panel이 6장 생산 가능하며, Gen 8.5 생산 라인 대비 3배 증가한 생산량과 95% 이상의 면취율 달성이 가능하다. 또한, solution process 적용 시 WRGB 구조가 아닌 real RGB 구조의 대면적 OLED panel 생산이 가능하다. TCL은 이를 바탕으로 Gen 11 solution process OLED 양산라인 건설이 필수 요소라고 강조한 바 있다.

한편, TCL은 산하 업체인 CSOT를 통해 2016년 중국 기업 Tianma와 함께 JUHUA Printing Display Technology라는 합작사를 설립, 4.5세대 R&D 파일럿 공장을 만들어 잉크젯 프린팅 공정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SID2018] Full screen에 한발 더 접근한 삼성디스플레이 OLED 기술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중인 SID2018 전시회에서 스마트폰의 전면 스피커가 없는 새로운 개념의OLED가 공개되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신작인 “Sound on display”는 스마트폰 상단에 있는 스피커를 없애고 패널 뒷면에 전기 신호를 진동으로 전환 시킬 수 있는 압전소자(piezo electric) actuator를 부착한 것이다. actuator가 OLED 패널을 진동 시켜 소리를 발생시키는 메커니즘이다. LG디스플레이가 판매하고 있는 “Crystal sound OLED”와 같은 방식이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스마트폰 전면에서 스피커가 없어져 디스플레이 면적이 더 넓어질 수 있다. 최근 홈 버튼이 디스플레이에 내장되는 추세에 이어 스피커도 디스플레이에 내장되는 방향으로 OLED는 진화를 거듭할 것이다.

Samsung Electronics, full screen rigid OLED 채용 확대

Samsung Electronics가 보급형인 Galaxy A8(2018) series에 이어 full screen rigid OLED가 적용 된 보급형 smartphone을 잇따라 출시할 것으로 예상되며 주춤했던 rigid OLED 시장이 다시 활기를 띌 수 있을지 주목된다.

5월 초 Samsung Electronics는 홈버튼을 없애고 full screen rigid OLED를 채용한 2018년 향 ‘Galaxy A6(2018)’과 ‘Galaxy A6+(2018)’을 공개했다. Galaxy A6(2018)은 5.6 inch에 HD+(1480 x 720) 해상도의 rigid OLED가 적용 되었으며, Galaxy A6+(2018)은 6.0 inch에 FHD+(2220 x 1080) 해상도의 rigid OLED가 적용 되었다.

<Samsung Galaxy A6(2018), Source: GSM-specs.com>

또한 지난 16일, Samsung Electronics의 또 다른 보급형 smartphone인 ‘Galaxy J6(2018)’의 공식 렌더링 사진이 독일 매체인 WinFuture를 통해 유출됐다.

<Samsung Galaxy J6(2018), Source: WinFuture>

Galaxy J6(2018)에는 5.6 inch에 FHD+(2220 x 1080) 해상도의 rigid OLED가 적용 될 예정이다. Galaxy A6 series와 Galaxy J6 모두 5월 말에 출시 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Smartphone용 rigid OLED 시장은 full screen LCD의 등장과 저가형 smartphone에서 LCD가 주로 채용됨에 따라, 수요가 감소되고 rigid OLED 양산라인의 가동률 하락으로 이어졌다. 유비리서치에 따르면, rigid OLED 출하량은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나 2017년에는 2016년 대비 8% 하락한 2.9억개가 출하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지난해 하반기부터 공급이 시작 된 full screen rigid OLED가 VIVO X20과 Galaxy A8에 채용되기 시작하였으며, Galaxy A6 series와 Galaxy J6 등 다수의 smartphone으로 채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rigid OLED 양산라인의 가동률도 하반기부터 정상화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rigid OLED 시장이 다시 활기를 띌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Foldable OLED device is nearing commercialization. What are the technical challenges to be solved?

Attentions are growing for the foldable smartphone since it can provide a wider screen and higher resolution than the display of conventional smartphones, while maintaining the portability of the smartphone. The foldable smartphone is a smartphone when folded, and it becomes a tablet PC when it is unfolded. Following Samsung Electronics, Huawei is also aiming to launch a smartphone with a foldable display this year.

Yi Choong-Hoon, president of UBI Research, said, “Ideal foldable displays require such kind of reliability that there is no problem even with more than 300,000 times folding at the bending radius of 1R or less. For this, some changes or innovations are needed in the material and structure of the display.

In the ‘2018 OLED Component & Material Report’ published by UBI Research on May 21, 2018, the key issues and development trends for foldable OLED display with a bending radius of 1R ar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classified contents of structural change to secure reliability at thickness reduction and alternative material development.

<Change in OLED panel thickness accoding to bending radius, 2018 OLED component & material report, UBI Research>

In addition, the report covers the application status, development trends, and market forecast of key components and materials for rigid OLED and flexible OLED for mobile device, and large-area OLED for TV. Thus, it is helpful for the related part and material companies to develop their future directions, establish business strategies, and analyze technology and market trends.

Samsung Electronics, is increasing full screen rigid OLED adoption.

Samsung Electronics is expected to launch next-generation smartphones with full-screen rigid OLEDs, next to the popular Galaxy A8 (2018) series. Accordingly, attention is focused whether the sluggish rigid OLED market will revive.

In early May, Samsung Electronics unveiled ‘Galaxy A6 (2018)’ and ‘Galaxy A6 + (2018)’ with full screen rigid OLED, eliminating the home button. The Galaxy A6 (2018) adopts rigid OLED with HD + (1480 x 720) resolution at 5.6 inch, and the Galaxy A6 + (2018) is applied with rigid OLED with FHD + (2220 x 1080) resolution at 6.0 inch

<Samsung Galaxy A6(2018), Source: GSM-specs.com>

On the other hand, the official rendering image of Samsung Electronics’ Galaxy J6 (2018), another entry-level smartphone, was leaked through WinFuture, the German media on May 16.

<Samsung Galaxy J6(2018), Source: WinFuture>

The Galaxy J6 (2018) is expected to have 5.6-inch rigid OLED with FHD + (2220 x 1080) resolution. Both the Galaxy A6 series and the Galaxy J6 are expected to be launched around the end of May.

Recently, the demand for rigid OLED for smartphone market has decreas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full screen LCD as well as LCD adoption in low-priced smartphones. Consequently, the utilization rate of rigid OLED mass production line has also decreased. According to UBI Research, rigid OLED shipments rose steadily from 2014 to 2016, but 290 million units were shipped in 2017, 8% down from the previous year.

However, the full screen rigid OLED, which was launched in the second half of 2017, started to be adopted in the VIVO X20 and Galaxy A8, and has been expanded to be applied to a number of smartphones such as the Galaxy A6 series and Galaxy J6. As the utilization rate of rigid OLED mass production lines is expected to normalize from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attention is growing whether rigid OLED market will be rebounded again.

폴더블 OLED 상용화 눈앞, 해결해야 할 기술과제는?

최근 스마트폰의 휴대성은 유지한채 기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보다 더 넓은 화면과 고해상도를 제공할 수 있는 폴더블 스마트폰이 주목받고 있다. 폴더블 스마트폰은 접으면 스마트폰, 펼치면 테블릿 PC의 컨셉으로 삼성전자에 이어 화웨이에서도 올해 폴더블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스마트폰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유비리서치의 이충훈대표는 “이상적인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접히는 부분의 곡률반경이 1R이하, 30만 회 이상 접었다 펴도 문제가 없는 신뢰성이 요구된다”며, “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의 소재와 구조에 많은 변화들이 필요하다” 라고 밝혔다.

유비리서치가 21일 발간한 ‘2018 OLED 부품소재 보고서에서는 곡률 반경 1R의 foldable OLED 디스플레이 개발을 위한 핵심 이슈와 개발 동향들을 두께감소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 변화, 대체 재료 개발로 분류하여 기술되어 있다.

<곡률반경에 따른 OLED panel 두께 변화, 2018 OLED 부품소재 보고서, UBI Research>

이 외에도 mobile 기기용 rigid OLED와 flexible OLED, TV용 대면적 OLED의 핵심 부품소재들의 적용현황과 개발 동향, 시장전망을 다루어 관련 부품소재 업체들의 향후 개발 방향과 사업 전략 수립, 기술과 시장 트렌드 분석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LG OLED TV, 컨슈머리포트 선정 올해 최고의 TV 3년 연속 선정

미국 소비자 전문 매체인 컨슈머리포트는 최근 발표한 2018 최고의 TV에서 LG Electronics의 65인치 OLED TV인 ‘OLED65C8PUA’가 모든 제품 중 최고 제품으로 선정 됐다고 발표했다.

<LG Electronics의 OLED65C8PUA, Source: lg.com>

컨슈머리포트는 OLED65C8이 가격과 성능에서 훌륭한 균형을 이뤘다고 밝히며, 우수한 고화질과 UHD 성능, 무한대의 시야각 등 화질 부분의 우수성과 함께 인공지능 플랫폼인 ThinQ AI 플랫폼도 훌륭하다고 언급했다.

LG Electronics의 OLED TV 시리즈는 2016년 최고 제품으로 선정 된 이후 3년 연속 자리를 지키고 있다. 특히, 올해 출시 된 OLED TV에는 LG Electronics가 독자 개발한 화질칩인 ‘알파9’을 장착하여 노이즈를 기존대비 절반으로 줄이고 더욱 정교한 색좌표로 정확한 색을 구현 하는 등, 화질이 더욱 더 업그레이드 됐다.

한편, LG Electronics의 OLED TV는 premium TV 시장에서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하며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LG Electronics는 지난 1분기 컨퍼런스 콜에서 HE 사업부분 1분기 실적이 매출액 4.12조원과 영업이익 5,773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히며, 특히 OLED TV와 UHD TV를 중심으로 전년 대비 성장을 주도하여 영업이익률은 14.0%를 달성하였다고 언급했다.

또한, 앞으로 TV 사업을 수익성 중심으로 운영할 것이라 언급하며, 전체 TV 매출 중 OLED TV의 매출 비중이 10% 후반까지 성장할 것으로 기대했다.

LG OLED TV was selected as the best TV for 3 consecutive years.

At the best 2018 TV released recently by Consumer Reports, US consumer magazine, LG Electronics’ 65-inch OLED TV ‘OLED65C8PUA’ was selected as the best product among all the products.

<LG Electronics’ OLED65C8PUA, Source: lg.com>

Consumer Reports notes that the OLED65C8 has a good balance of price and performance. With the excellent quality of images including excellent high definition, UHD performance, and infinite viewing angles, it mentions that ThinQ AI platform, an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 is also excellent.

LG Electronics’ OLED TV series has remained in the first place for three consecutive years since being selected as the best product in 2016. In particular, the OLED TV released this year was upgraded to higher quality by installing ‘Alpha 9′, a proprietary image quality chip developed by LG Electronics, to reduce noise to half compared with previous models, and to achieve accurate colors with more sophisticated color coordinates.

On the other hand, LG Electronics’ OLED TV continues to secure its position in the premium TV market. LG Electronics announced at the conference call held on April, 26th that the sales revenue and operating profit of its HE (Home Entertainment) business division were recorded KRW 4.12 trillion and KRW W577.3 billion, respectively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In particular, OLED TVs and UHD TVs led the growth. The operating margin reached 14.0%.

According to LG Electronics, it will continue to operate TV business with profitability. The proportion of OLED TV sales is expected to grow from 10 percent last year to mid 10% ~20% of the total TV sales this year.

OLEDWorks announces ‘OLEDSurface Light Module’ which integrates OLED light and driver.

OLEDWorks, specialized in OLED lighting, recently announced the launch of ‘OLEDSurface Light Module’, which integrates OLED lighting, driver and frame.

The OLEDSurface, 8.1m in thickness and 90grams, has a color temperature of 3000K or 4000K and brightness of up to 300 lm. It can be easily mounted to any flat surface such as walls or ceilings, and does not require an additional heat dissipation system. The module also includes a low voltage constant current driver and a 0-10V dimming-compatible driver.

“The beauty of the OLEDSurface Light Module allows designers of all skill levels to effortlessly install elegant light tiles for the pure, direct view light experience that is uniquely OLED. In addition, developers will realize cost savings for low voltage wiring, optional elimination of junction boxes, and no need for a plenum that hides bulky heat sinks and drivers.” explained Giana Phelan, OLEDWorks’ director of business development.

Applied with Brite OLED lighting panel, the OLEDSurface runs from any low voltage power source (28-48VDC) with typical power consumption of 5.4W.

Brite OLED lighting panel is one of OLEDWorks’ flagship products and the new Brite 3 series was unveiled at Light + Building 2018. The Brite3 products consist of square, rectangular and round type of rigid OLED lighting and bendOLED type of flexible OLED lighting. Rigid OLED lighting panel has a lifetime of 100,000 hours and efficiency of 80 lm/w and bendable OLED lighting panel provides an efficacy of up to 63lm/W with a lifetime of up to 50,000 hours.

<Brite 3 series OLED lighting panel introduced at Light+Building 2018>18

 

OLEDWorks, OLED 조명과 드라이버가 통합 된 ‘OLEDSurface Light Module’ 출시 발표

OLED 조명 전문 업체인 OLEDWorks는 최근 OLED 조명과 driver, 프레임 등이 모듈에 모두 통합 된 ‘OLEDSurface Light Module’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OLEDSurface의 두께는 8.1 mm이며 무게는 90 g, 색온도는 3000K 또는 4000K, 밝기는 최대 300 lm으로써, 벽이나 천장 등 평평한 표면에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방열 시스템이 필요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이 모듈에는 저전압 정전류 드라이버와 0-10V 디밍 호환 드라이버가 내제되어 있다.

OLEDWorks의 사업 개발부 이사인 Giana Phelan은 “OLEDSurface는 나사만으로 간편하게 설치되며 저전압 배선 미설치로 인한 비용 절감, 방열판과 driver 등을 숨기기 위한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하지 않다”고 OLEDSurface의 장점을 설명했다.

OLEDSurface에는 Brite OLED lighting panel이 적용되며, 소비전력이 5.4 W인 모든 저전압 전원(28~48VDC)에서 동작한다.

Brite OLED lighting panel은 OLEDWorks의 주력 제품 중 하나로써, 신규 제품인 Brite 3 series가 지난 Light+Building 2018에서 공개된 바 있다. Brite3 series는 square & rectangular type과 round type의 rigid OLED lighting과 bendOLED type의 flexible OLED lighting의 3가지 종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rigid OLED lighting panel의 수명은 10만시간, 효율은 80 lm/W이고 bendOLED의 수명은 5만시간, 효율은 60 lm/W이다.

<Light+Building 2018에서 공개 된 Brite 3 series OLED lighting panel>

초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는 FMM, 국산화 앞당겨지나

Fine metal mask(이하 FMM)은 화소와 RGB 유기물을 증착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FMM은 OLED의 해상도와 수율을 결정짓는 요소로서 작용되나, 현재 FMM은 증착 공정시 열팽창이 일어나거나 무게에 의한 섀도우 현상이 발생하는 한계에 봉착해 있다.

또한, FMM 전량은 일본 히다치(Hitachi)금속이 생산한 압연 invar를 일본 다이니폰프린팅(DNP)에서 에칭 공정을 통해 만든 완제품 형태로 비싼 가격에 수입하고 있다.

이로 인해 국내외 관련 업계는 laser가공 등 다양한 방식으로 FMM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이나 아직까지 R&D 단계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9일 순천대학교 신소재공학과 박용범 교수 연구팀은 전주도금 인바 제조기술을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기도금을 활용하면서 음극에 부착된 금속을 박리한 후 형상이 있는 부품으로 만드는 기술이다.

<전주도금인바의 열팽창곡선과 미세조직, 출처: 순천대>

해당 기술을 통해 invar는 판재로도 생산할 수 있고, 패턴 된 음극의 형상을 그대로 복제할 수 있다. 또한, FMM의 두께를 지금보다 절반 정도 얇은 7 um 수준까지 구현할 수 있어 초고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박 교수는 “전주도금 인바에 대한 일본의 연구 수준이 우리 연구팀 턱 밑까지 쫓아왔고, 중국은 대규모 자본을 앞세워 개발에 뛰어들었다.”며, “우리나라 기업들이 국제경쟁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학계가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지난 20년 가까이 연구해 구축한 모든 데이터베이스를 논문을 통해 공개하기로 결심했다.”고 덧붙여, 그간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FMM을 국산화 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Is accelerating the localization for FMM, which can realize ultra-high resolution?

Since Fine Metal Mask (FMM) plays a role of depositing pixel and RGB organic materials, FMM is a factor that determines the resolution and yield of OLED. However, FMM is currently confronted with some limitations that thermal expansion occurs 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or shadow effects arise due to its weight.

In addition, the total amount of FMM is imported at high prices in the form of finished products which are made by Japanese Dainippon Printing (DNP)’ etching process with the rolled invar produced by Hitachi Metals.

Under the circumstances, domestic and overseas related industries are concentrating on developing FMM in various ways such as laser processing, but they are still in R & D stage.

The research team of Professor Park Yong-Bum of New Material Engineering Department of Sunchon University announced on 9th May that it succeeded in developing the technology of electroforming invar manufacturing technology. This is a technique for separating the metal attached to the cathode while utilizing the electroplating, and making FMM.

<Thermal expansion curves and microstructure of electroforming invar, source: Suncheon University>

According to the research team, invar can be produced as a sheet material, and the shape of the patterned cathode can be copied as it is, through this technology.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FMM can be reduced to about 7μm, about half the thickness of the current FMM, which might be helpful to realize super high image quality.

Professor Park said, “The level of Japanese research on the electroforming invar has been pursued to the bottom of our research team, and China has entered into development with a large amount of capital.” In order for Korean companies to gain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 thought the academic circles needed to support it actively. Consequently, I have decided to publish all the databases that have been built and researched for nearly 20 years through papers.”

Attention is focused whether it is to be successful in localizing FMM, the total amount of which has been imported.

SCREEN Holdings, 시가현 히코네시에 신 공장 건설을 통해 OLED 사업 강화

SCREEN Holdings는 지난 8일, 시가현 히코네시의 히코네 사업소에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와 증착 장비 생산 공장을 건설한다고 밝혔다.

<SCREEN Holdings의 신공장 완성 이미지, Source: screen.co.jp>

SCREEN Holdings에 따르면 새로운 공장의 건설은 기존 장비들의 생산량을 강화하여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한 목적으로써, 총 공사비는 20억엔이 투입되며 완공 예정은 10월이다.

SCREEN Holdings는 이번 투자를 바탕으로 미세화가 요구되는 OLED를 비롯한 flexible display 제조 장비 생산에 대응 할 수 있는 청결한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SCREEN Holdings 2017년 7월 차량용 OLED 생산 장비를 공개한 바 있으며 11월에는 6세대 OLED TFT용과 TSP용 slit coater를 공개 하는 등 꾸준히 OLED 관련 장비를 선보이고 있다.

<SCREEN Holdings의 차량용 OLED 장비, Source: asia.nikkei.com>

SCREEN Holdings, Strengthening OLED business through construction of new factory in Hikone City, Shiga Prefecture

SCREEN Holdings announced on the 8th May that it will build a new manufacturing factory for display equipment and deposition equipment at its Hikone office in Shiga Prefecture.

<SCREEN Holdings’ New factory completion image, Source: screen.co.jp>

According to SCREEN Holdings, the construction of a new plant is aimed at expanding its market share by strengthening the production capacity of existing equipment. It is planned to be completed in October, 2018 with the total construction cost of 2 billion yen.

Based on this investment, SCREEN Holdings is expecting to build a clean environment capable of responding to the production of manufacturing equipment for flexible display, including OLED, which requires miniaturization.

Meanwhile, SCREEN Holdings has introduced its OLED equipment consistently. It showcased its OLED production equipment for automotive in July 2017 and 6G OLED TFT and TSP slit coater in November 2017.

<SCREEN Holdings’ OLED equipment for automotive, Source: asia.nikkei.com>

 

BLUE OLED, is rapidly emerging as a competitor of WRGB OLED

In the premium TV market, the share of OLED TVs is steadily increasing, and the price gap with LCD is gradually decreasing. As a result, LCD TV (QD-LCD TV) companies using quantum dot technology are sluggish in the premium TV market.

OLED TV uses white OLED and OLED panel with color filter (hereafter referred to as WRGB OLED), which is mass-produced only by LG Display.

Samsung Display is known to actively develop blue OLED + QDCF (blue OLED), which is one of the technologies to compete with WRGB OLED in the premium TV market.

UBI Research predicted that Samsung Display would implement blue OLED + QDCF with top emission method and it would be more advantageous to implement 8K and BT 2020 than WRGB in its ‘2018 OLED Material Industry Report’ published on April 18.

<Expected stack structure for Blue OLED, 2stack (left), 3stack (right), 2018 AMOLED emitting materials Report, UBI Research>

8K and BT2020 are to be adopted for the premium TVs. Also, the development of blue materials is expected to be aggressively progressed according to Samsung Display’s development of blue OLED. The blue material currently used in OLED is a fluorescent material that is insufficient in the efficiency and lifetime than phosphorescent material used in red and green. Blue phosphorescent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continuously but they have not been applied to mass production due to the scarcity of materials and technical barriers. Therefore, blue fluorescent materials are stacked two or more times to improve efficiency and lifetime for large area OLED, and blue OLED is expected to use more than 2 stack structure.

 

With this trend, the market for blue emitting materials is expected to continue to grow. In 2017, blue materials (host and dopant) formed market of US$ 70 million.  According to the 2018 AMOLED emitting material market track published by UBI Research, blue material is expected to grow at an average annual rate of 32% by 2022 and reach US $ 272 million sales.

<Blue material (host and dopant) market forecast, 2018 AMOLED emitting materials Market track>

 

BLUE OLED, WRGB OLED의 경쟁자로 급부상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OLED TV의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LCD와의 가격 격차도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로 quantum dot 기술을 적용한 LCD TV(QD-LCD TV)업체들이 프리미엄 TV시장에서 주춤하고 있는 상황이다.

OLED TV는 white OLED와 color filter를 적용한 OLED panel을 사용하고 있으며(이하 WRGB OLED) LG Display에서 유일하게 양산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에서는 프리미엄 TV시장에서 WRGB OLED에 대항하기 위한 기술 중 하나인 blue OLED + QDCF(이하 blue OLED)를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비리서치는 지난 18일 발간한 ‘2018 OLED 재료 산업 보고서’에서, 삼성디스플레이는 top emission 방식으로 blue OLED+QDCF를 구현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이에 따라 8K와 BT 2020을 구현하는데 WRGB 보다 유리할 것으로 분석한 바 있다.

<Blue OLED 예상 스택 구조, 2stack (좌), 3stack (우), 2018 AMOLED emitting materials Report, UBI Research>

TV의 트랜드가 8K, BT2020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삼성디스플레이의 blue OLED 개발에 힘입어 blue materials에 대한 개발도 적극적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현재 OLED에 사용되고 있는 blue재료는 형광물질로서 red와 green에 사용되는 인광물질보다 효율과 수명이 부족하다. Blue 인광재료 개발도 지속적으로 진행되 오고 있지만 재료의 희소성과 기술장벽으로 양산에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대면적 OLED panel에는 형광 blue 재료를 2번이상 적층하여 효율과 수명을 향상시키는 stack 구조를 적용하고 있으며, blue OLED도 2 stack 이상의 구조를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blue 발광재료에 대한 시장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7년 blue 재료(host와 dopant)는 US$ 70 million의 시장을 기록했다. 유비리서치에서 발간한 2018 AMOLED emitting material market track에 따르면 blue 재료는 2022년 까지 연평균 32%로 성장하여 US$ 272 million의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Blue 재료(host와 dopant) 시장전망, 2018 AMOLED emitting materials Market track>

Foldable smart phone, can it absorb tablet PC market?

“If foldable Smartphone is launched and commercialized in earnest, the high-priced tablet PC market is likely to disappear.”

Choong-hoon Yi, president of UBI Research, said in ‘the Latest OLED Technology Trends Seminar’ held at COEX in Seoul on the 26th April, 2018.

He also mentioned “The foldable smart phone is expected to be implemented as a 5.2 inch display with a 7.2 inch display folded in half. In addition, a bar-type display is to be added to the outside to check time and other information.”

Yi analyzed, “Foldable Smartphone can provide a momentum to revitalize the stagnant Smartphone market, and a positive aspect that can induce new investments to secure a sufficient number of panels due to the increase in the display screen size.”.

“If foldable smartphones are launched and commercializ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expensive tablet PC market will be disappeared. Foldable Smartphone can bring the tablet PC market which is being led by Apple.”He added.

Yi then predicted that foldable smart phones would implement 4K since their screen size is larger than normal smart phones. “OLED smart phones, which currently remain in QHD resolution, are expected to be difficult to implement it in five years due to the problems in masks, wiring widths and exposure systems; however, foldable smart phones are more free from these problems.” He said.

Finally, Yi pointed out the market success factors of the foldable smart phone as pioneering the Smartphone market for over $ 1,000, development of dedicated applications/contents and early establishment of 5G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data transmission such as video streaming.

Meanwhile, he estimated that OLED panels for foldable smartphones would be shipped to 100 thousand units in 2018, and 2.83 million units would be shipped in 2022.

<Shipment forecast of OLED panels for foldable Smartphone, Source: Q2’18 OLED panel market track @UBI Research>

 

In order to accelerate the mass production of solution processed OLED?

At the latest OLED technology trends seminar organized by UBI Research in Seoul COEX on April 26th, professor Seo presented about the status of solution processed OLED for large-area TV production.

Professor Seo emphasized that there are four technical challenges to advance the mass production of solution processed OLED.

 

The first challenge is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that can form stable and flat thin films. When the emitting material for solution process is applied, the solvent causes a convection phenomenon due to solubility and boiling point.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make a flat film because the speed at which the solvent flows is different for each region.

 

The second is the development of cross linked HTL materials. Emitting material companies are mixing cross-linking agents into HTL materials for solution process to solve intermixing problems between layers. However, a pinhole is formed due to a cross linking reaction with the surrounding small molecular materials when crosslinked materials in small molecule type are used. This kind of pinhole lowers the uniformity of the thin film,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rosslinked HTL materials that can improve the reproducibility and lifetime of OLED in solution process.

 

The third is the jetting condition. He proposed a jetting condition that can minimize the volume deviation of the emitting material for solution process every head since it is necessary to drop the emitting material for solution process of less than 4 pl to the desired position in the size of 20-50 um to realize 8K. Lastly, he commented that it is required to optimize the drying process of solvent. UBI Research described that the solution OLED process has a simple (5 layer) structure and high material utilization efficienc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eposition proces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large-area OLED with RGB structure without the division of mother glass at Gen8 or higher. When major panel makers adopt solution process, it is availa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OLED due to the decrease of equipment and equipment scale as well as material cost and labor cost reduction. According to the 2018 Annual OLED Display Industry Report and 2018 Emitting material Industry Report published by UBI research, solution processed OLED is to be mass produced from 2019 in earnest, and the shipment is expected to be 0.2 million units in 2019 and 9.2 million units in 2022. Accordingly, the emitting material market for solution process is estimated to grow to US$ 110 million in 2022 from US$ 9 million in 2019.

Micro LED TV, is the price competitive compared to OLED TV?

“It needs to consider how to resolve the price competitiveness compared to other displays, such as OLED, before Micro LED is to be applied to the big screen TVs of 60 inches and 70 inches in future.”

 

Moon Dae-Gyu, professor of Soonchunhyang University, mentioned as above while explaining the micro LED technology at the ‘latest OLED technology trends seminar’ organized by UBI Research in Seoul COEX on April 26th, 2018.

 

“Micro LED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technology capable of realizing a high resolution display of 1,000 ppi or more. Since micro LEDs are individually obtained from a LED wafer by the photo process, they are not affected by the size and shape of a substrate, and have the merits that the advantages of existing LED such as luminance, lifetime and low power consumption, can be applied as they are.” professor Moon adde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be a good environment to show the advantages of micro LED in the field where power consumption is very important, such as wearable appliances. He also predicted tha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display in no tile form in very large display area such as public display and digital wall, which might be easy segments for micro LED to enter.

 

However, regarding the mass production of micro LED TV, which is becoming a recent issue, Moon said, “In order to implement 4K, 24.8 million LED chips (with a size of 10 μm/chip) are required. At the 4 inch wafer, which is currently being commercialized, 4K panels can be produced twice only. Thus, it is doubtful whether micro LED is competitive compared to LCD and OLED in terms of mass production.”

Commenting about TFT uniformity and pixel uniformity of the micro LED, he mentioned “TFT uniformity can be sufficiently compensated by the compensation circuit that is currently applied to OLED, but it should be considered how to solve the color imbalance problem.”

Micro LED TV, which was introduced by Samsung Electronics in CES 2018, and received a lot of attentions at the time, but it was disagreed about commercialization. In particular, Kang In-Byung, CTO of LG Display, pointed out, “About 25 million LEDs are needed to realize 4K micro LED TV. Even if 1 LED is 1 Korean Won, the cost might be 25 million. And when the circuits and boards are added, it would be a huge price.”

폴더블 스마트폰, tablet PC 시장 흡수 가능할까

“폴더블 스마트폰이 출시 되어 본격적으로 상용화가 된다면 고가의 tablet PC 시장은 소멸 될 가능성이 있다”

지난 26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OLED 최신기술 동향 세미나’에서 유비리서치 이충훈 대표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폴더블 스마트폰과 관련하여 위와 같이 밝혔다.

이 대표는 “폴더블 스마트폰은 7.2 inch의 디스플레이가 반으로 접혀 5.2 inch 디스플레이로 구현 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추가적으로 외부에 시간이나 기타 정보 확인을 위한 bar 형태의 디스플레이가 추가 될 것”이라 언급했다.

이 대표는 “폴더블 스마트폰이 정체되어 있는 스마트폰 시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모멘텀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화면 크기 증대로 인해 부족해지는 패널 수량 확보를 위한 신규 투자도 유발 할 수 있는 긍정적인 면을 제공 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폴더블 스마트폰이 출시 되어 상용화 될 경우 고가의 tablet PC 시장이 소멸 될 가능성이 있다”며, “폴더블 스마트폰이 현재 Apple이 주도하고 있는 tablet PC 시장을 가져올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서 이 대표는 폴더블 스마트폰은 일반 스마트폰보다 화면 크기가 더 크기 때문에 4K 구현도 가능하다고 예상하였다. 현재 QHD 해상도에 머물고 있는 OLED 스마트폰은 마스크와 배선 넓이, 노광기 문제로 인해 5년 이내 구현이 힘들 것으로 예상되지만 폴더블 스마트폰은 이러한 문제에서 좀 더 자유롭다고 언급했다.

마지막으로 이 대표는 폴더블 스마트폰의 시장 성공 요소로 1,000 달러 이상 스마트폰 시장의 개척과 전용 application/contents 개발, 동영상 스트리밍 등 데이터 전송을 위한 5G 통신 기술 조기 정착을 언급했다.

한편, 이 대표는 2018년 폴더블 스마트폰용 OLED 패널이 10만대 출하 될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2022년에는 283만대가 출하 될 것으로 예상했다.

<폴더블 스마트폰용 OLED 패널 출하량 전망, Source: Q2’18 OLED panel market track @UBI Research>

용액 공정용 OLED 양산을 앞당기기 위해서는?

지난 26일 코엑스에서 유비리서치가 개최한 OLED 최신 기술 동향 세미나에서 서민철 교수는 대면적 TV 제조를 위한 용액 공정용 OLED 공정 현황을 발표하였다.

서 교수는 용액 공정용 OLED의 양산을 앞당기기 위해서는 4가지의 기술과제가 남아있다고 강조하였다.

첫 번째 기술과제는 안정적이며, 평평한 박막을 형성할 수 있는 재료의 개발이다.

용액 공정용 발광재료가 도포 될 시, 용해도와 끓는점 등으로 인해 solvent는 대류 현상을 일으킨다. 이로 인해 각 영역마다 solvent가 날아가는 속도는 달라져 평평한 박막을 만들기 어렵다고 설명하였다.

두 번째는 가교형 HTL 재료의 개발이다.

발광재료 업체에서는 layer간 intermixing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용액 공정용 HTL 재료에 가교제를 혼합하고 있다. 그러나 저분자 계열의 가교형 물질을 사용할 경우, 주변의 저분자 물질과의 가교반응으로 인해 pinhole이 형성된다. 이러한 pinhole은 박막의 uniformity를 저하시키기 때문에 용액 공정 OLED의 재현성과 수명을 떨어트리기 때문에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가교형 HTL 재료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세 번째는 jetting 조건이다.

서 교수는 4pl미만의 용액 공정용 발광재료를 20-50 um의 크기로 원하는 위치에 떨어트려야 8K를 구현할 수 있다며, head 마다 용액 공정용 발광재료의 부피 편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jetting 조건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서 교수는 solvent의 건조 공정 최적화가 필요함을 언급하며 발표를 마쳤다.

유비리서치에 따르면, 용액 공정용 OLED 공정은 기존 증착 공정에 비해 OLED 구조가 단순(5layer)하며 재료 사용 효율이 높다. 또한, Gen8 이상에서 원장 분할 없이 RGB 구조의 대면적 OLED 제조가 가능하며, 주요 panel 업체가 solution process를 도입 할 시 설비 및 장비 규모 축소뿐만 아니라 재료비와 인건비 절감 등으로 OLED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유비리서치는 2018 Annual OLED Display Industry Report와 Emitting material Industry Report를 통해 용액 공정용 OLED는 2019년부터 본격적으로 양산되어 2019년 20만 개, 2022년 920만 개 출하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에 따른 용액 공정용 발광재료 시장은 2019년 900만 달러를 형성하여 2022년 약 1.1억 달러의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Micro LED TV, OLED TV와 비교하여 가격 경쟁력이 있을까

“Micro LED는 향후 60 inch와 70 inch 이상의 TV에 적용되기 전에, 먼저 OLED 등 타 디스플레이대비 가격 경쟁력을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고려를 해야 한다”

지난 26일 서울 코엑스에서 유비리서치 주최로 열린 ‘OLED 최신기술 동향 세미나’에서 순천향대학교 문대규 교수는 micro LED 기술을 설명하며 위와 같이 언급했다.

문 교수는 “Micro LED는 1,000ppi 이상의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구현이 가능한 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며, “LED wafer에서 photo 공정으로 micro LED를 개별적으로 얻기 때문에 기판의 크기와 모양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과 휘도와 수명, 저전력 등 기존의 LED의 장점이 그대로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wearable 기기처럼 소비전력이 매우 중요한 분야에서는 micro LED의 장점이 발휘되기 좋은 환경이 될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그 외에도 public display나 digital wall 등의 초대형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no tile 형태로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진입이 쉬운 영역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micro LED TV 양산과 관련하여 문 교수는 “4K 구현을 위해서는 LED chip이 10 um 크기로 24.8M개가 필요한데, 현재 상용화 되고 있는 4 inch wafer에서는 4K 패널을 2번밖에 생산 할 수 없다”고 설명하며, “양산성 측면에서 micro LED가 LCD와 OLED 대비 가격 경쟁력이 있을까 하는 의문이 있다”고 밝혔다.

또한 micro LED의 TFT 균일도와 pixel 균일도를 언급하며, “TFT 균일도는 현재 OLED에도 적용 되고 있는 보상 회로로 충분히 대응이 가능하지만, color 불균형 문제 발생 시 이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 것인지 고려해야 할 것”이라 밝혔다.

Micro LED TV는 지난 CES 2018에서 Samsung Electronic가 선보인 TV로써, 당시 많은 주목을 받았으나 상용화와 관련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특히, LG Display의 강인병 CTO는 “4K micro LED TV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약 2천500만개의 LED가 필요한데, LED가 1개당 1원이라고 해도 2천500만원이고, 회로와 기판까지 포함하면 엄청난 가격일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LG Electronics expect OLED TV sales portion to grow to mid 10% ~ 20% of total TV sales this year

LG Electronics announced at the conference call held on April, 26th that the sales revenue and operating profit of its HE (Home Entertainment) business division were recorded KRW 4.12 trillion and KRW W577.3 billion, respectively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The sales declined due to the seasonal weakness, compared with the previous quarter, but grew 7.4% YoY. In particular, OLED TVs and UHD TVs led the growth.  Operating profit grew 76.5% YoY thanks to the continued premium product sales growth, material cost drop, and improved cost structure. The operating margin reached 14.0%, which is the first time that the HE division has achieved a double-digit OP margin. As for the second quarter forecast, LG Electronics said, “We expect TV demand to increase slightly compared to the same period of last year due to the impact of sports events on the market. In particular, the rapid growth of the premium TV market is expected to continue.”

LG Electronics also mentioned “With the plan for sales growth to be continued by responding timely to the demand for additional sports events, and strengthening sales of new products, we are going to maintain sound profit structure by increasing sales of OLED TVs and UHD TVs and enhancing cost competitiveness.”

 

Ha Jin-Ho, Senior Vice President of HE Division, LG Electronics said “ Achieving 14% operating profit in the 1st quarter, 2018 means that we have strengthened our brand centered on value, with no more volume sales.’’ OLED TV has brought synergistic effects, and we will continue to operate TV business with profitability. The proportion of OLED TV sales is expected to grow from 10 percent last year to mid 10% ~20% of the total TV sales this year.” he added.

LG전자, 올해 OLED TV 매출 비중 10% 후반까지 성장 기대

LG전자가 4월 26일 진행된 2018년 1분기 컨퍼런스 콜을 통해 HE 사업부분 1분기 실적은 매출액 4.12조원, 영업이익 5,773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액은 계절적 비수기 진입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감소하였지만, 전년 동기 대비는 7.4% 성장하였다. 특히, OLED TV와 UHD TV를 중심으로 전년 대비 성장을 주도하였다.

 

영업이익은 지속적인 프리미엄 제품 판매 확대와 재료비 하락, 원가 구조가 개선되면서 전년 동기 대비 76.5%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14.0%를 달성하였으며, HE 사업본부가 두 자릿수의 영업이익률을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분기 전망에 대해서 LG전자는 “시장 측면에서 스포츠 이벤트 영향으로 TV 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다소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특히 프리미엄 TV 시장의 빠른 성장세는 지속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에 LG전자에서는 “스포츠 이벤트 추가 수요에 적기 대응하고, 신제품 판매 활동을 강화하여 전년 대비 매출 성장세를 지속해 나가고, OLED TV와 UHD TV의 매출 확대와 꾸준한 원가 경쟁력 제고를 통해 건전한 수익 구조를 유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LG전자 HE본부 하진호 전무는 “올해 HE 사업부분에서 영업이익률 14%를 달성한 것은 volume 게임을 지양하고, 프리미엄 제품의 value 중심으로 브랜드를 강화하고 있는 것”이라며 “이에 OLED TV가 작용해서 상승 효과를 보고 있는 것이고, 앞으로도 TV 사업을 수익성 중심으로 운영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전체 TV 매출 중OLED의 매출 비중은 작년 10%에서 올해는 10% 후반까지 성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LG Display “expects OLED TV sales portion to account for mid 20% of total sales this year, and is to review switching LCD fab to OLED if necessary.”

Kim Sang-Don, LG Display’s CFO, said in a conference call on the 25th, “It has been successful with regard to customer demand forecast and high-end positioning for large area OLED panels.” “OLED TVs accounted for around 15% of LG Display’s sales last year and that number is expected to grow to the mid-20% range this year.” he commented. “In 2018, the production for large area OLED panels will be in the range of 2.5 ~2.8 million unit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eet all the demand due to the limited capacity. Therefore, LG Display plans to aggressively respond to the market demand by expanding productivity by reducing tact time, mass-producing large area OLED panels in its Chinese fab in 2019, and converting its domestic LCD fabs to OLED fabs, if necessary.” he said.

Also he added “It now has 15 big customers for its OLED TV panels, drawing more manufacturers from China, as well as key buyers Sony and LG Electronics, LG Display will strive to achieve good results in terms of profitability next year”.

Regarding small and medium-sized POLED, CFO Kim said, “As the investment cost is high with the high market volatility, we are considering very conservatively investment. We will make conservative decisions based on the best possible assessment of potential risks.” But he said, the company is constantly working in response to the expectations that POLED will become a design form factor not only for smart phones but also for automobiles and foldable. He further commented that the response and collaboration from its primary customers are favorable particularly for the automotive POLED, the investment stance is to be maintained; however, its speed and scale will be adjusted by monitoring its adaptability and market demand. In addition, for the question of the technical problem of small and medium-sized POLED which is known through recent media, he replied that it might not be filtered with lack of fact checking and it is not based on fact.

On the other hand, LG Display’s revenue fell 19.6 percent to KRW 5,673 billion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from KRW 7,062 billion in the first quarter of 2017 and decreased by 20% from KRW 7,126 billion in the fourth quarter of 2017. The company also had an operating loss of KRW 98 billion in the first three months this year, compared with the operating profit of KRW 1,027 billion in the first quarter of 2017. The net loss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was KRW 49 billion, compared with the net income of KRW 679 billion in the first quarter of 2017.

Saying “The loss was due to the weak demand for panels with the decline in LCD panel prices and an unfavorable exchange rate”, CFO Kim Sang-Don commented “ In order to secure future competitiveness, LG Display will reduce LCD investment and shift to OLED business to secure long-term profit. Given the company’s strategy of shifting to an OLED-focused business structure, it will continue to focus on differentiated products.”

Samsung Electronics’ Display Business Operating Profit in 1Q 2018 slowed down to KRW 410 billion

Samsung Electronics reported sales of KRW 60.56 trillion and operating profit of KRW 15.64 trillion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at the conference held on April 26. Its display division generated sales of KRW7.54 trillion with the operating profit of KRW410 billion. Display sales QoQ and YoY are -32.6% and 3.4%, respectively, and operating profit QoQ and YoY are -70.9% and -68.5%, respectively. OLED sales accounted for 70% of its total display sales. According to Samsung Electronics, the profitability of OLED segment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declined due to a decrease in demand from major customers and intensified competition with LTPS LCD for rigid OLED. In spite of the downturn in sales due to seasonal weakness and the decline in panel prices, LCD division achieved similar profitability as the previous quarter, thanks to the increased sales portion of high value-added products such as large-size and UHD and continuous cost reductions.

 

OLED demand is expected to continue to decline in the second quarter of 2018, and Samsung Electronics plans to expand its customer base while striving to secure competitiveness through cost reduction and production efficiency improvement. Although LCD segment is also expected to continue to show oversupply in 2Q 2018 due to the launch of new LCD lines, Samsung Electronics plans to secure profitability through timely development of high value-added and differentiated products, and cost reduction activities. Samsung Electronics said the demand of OLED panels for mobile devices is anticipated to gradually recover in the second half of 2018, while flexible products are expected to be the main focus of premium products. Also it emphasized that Samsung will expand its market share by expanding customer base through new technologies and new products, and strengthening cost competitiveness, together with technology differentiation with LCD and enhancement of new applications capacity. For the LCD segment, uncertainties are to be increased as Chinese panel makers continue to expand production volumes with the fierce competitions competition among companies. Samsung mentioned that it will continue to focus on differentiating with the large and high-end premium products and strengthening strategic partnerships with major customers to secure profitability.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Samsung Electronics sold 86 million mobile phones and 5 million tablets. The sales for mobile phone sales in Q2 2018 are expected to decline compared to the previous quarter, and tablet sales are expected to maintain the level of the previous quarter.

 

Total investment of Samsung Electronics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was 8.6 trillion won, of which 0.8 trillion won was invested in the display. Although the investment plan for this year has not been finalized yet, it is expected to decline from 2017 due to the rapid expansion of flexible OLED production, new technology development, and facility investment to prepare for market growth last year. Choi Kwon-Young, Vice President of Samsung Display said, “Currently, the mass production of A4 line is ready for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agreed schedule with the customer. And A3 line is trying to minimize the drop in operation rate.” He continued “We are under development by focusing on Quantum dot and 8K technologies to meet customer needs for big screen TV market. Also we are interested in various next-generation display technologies including micro LED.”

 

Samsung Electronics has continued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foldable phone, and now it is working with various companies to improve the product’s completeness.” Samsung said. Further, it added “We are focusing on improving the completeness of the product so that it can give real value to the consumers rather than simply launching it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If the parts performance and durability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foldable phone are more stabilized, and various use cases are found with the emergence of new form factor, we will disclose separately the timing of its commercialization.”

삼성전자, 2018년 1분기 디스플레이 사업 영업이익 4,100억원으로 주춤

삼성전자는 4월 26일 진행된 2018년 1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을 통해 매출 60.56조원, 영업이익 15.64조원을 기록했으며, 이 중 디스플레이 사업에서 매출 7.54조원, 영업이익 0.41조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디스플레이 사업 매출은 전분기 대비 32.6% 감소,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하였고,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70.9%, 전년 동기 대비 68.5% 감소하였다. 디스플레이 사업에서 OLED 매출은 70% 중반의 비중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2018년 1분기 OLED 부문은 주요 거래선의 수요 감소와 rigid OLED의 LTPS LCD와의 경쟁이 심화돼 수익이 감소했다. LCD 부문은 계절적 비수기로 인한 판매 감소와 패널 판가 하락이 지속됐지만, 대형, UHD 등 고부가 제품의 판매 비중 확대와 지속적인 원가 절감을 통해 전분기 수준의 수익을 달성했다.

삼성전자는 2018년 2분기에도 OLED 수요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삼성전자는 원가 절감과 생산 효율 향상을 통해 경쟁력 확보에 노력을 기울이는 동시에 고객사 확대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LCD 부문은 2분기에도 업계 신규라인 가동에 따른 공급 초과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지만, 삼성전자는 고부가 차별화 제품의 적기 개발과 원가 절감 활동 강화로 수익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2018년 하반기 삼성전자는 OLED 부문에서 모바일용 OLED 패널 수요가 점차 회복될 것으로 기대되고, flexible 제품은 프리미엄 제품군에서 주력으로 채택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신기술, 신제품을 통한 고객 기반 확충과 원가 경쟁력 강화로 시장 점유율 확대를 추진하고, LCD와의 기술 차별화 강화와 신규 응용처 역량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LCD 부문은 중국 업체의 생산 물량 확대가 지속되고 업체간 경쟁이 심해져 불확실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지속적으로 대형, 고해상도의 프리미엄 제품 차별화에 주력하고, 주요 고객사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해 수익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2018년 1분기에 휴대폰 8,600만 대, 태블릿 500만 대의 판매량을 기록했다. 2018년 2분기 휴대폰 판매량은 전분기 대비 감소하고, 태블릿 판매량은 전분기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의 2018년 1분기 시설 투자는 총 8.6조원이 집행되었고, 이 중 디스플레이에 0.8조원이 투자됐다. 올해 투자 계획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지난해 flexible OLED 생산 확대와 신기술 개발, 시장 성장 대비를 위한 시설 투자가 급증해, 2017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디스플레이 최권영 상무는 “현재 A4라인의 양산 시점은 고객과 협의된 일정에 따라 가동을 준비중”이며, “A3라인은 가동률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대형 TV 시장은 고객 니즈에 대응하기 위해 퀀텀닷과 8K 기술을 중심으로 개발 준비 중”이며 “Micro LED를 포함한 다양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을 관심있게 보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foldable폰 상용화를 위해 연구 개발을 지속해왔으며, 현재는 제품 완성도를 높이는 단계로 다양한 업체와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단순히 세계 최초로 출시하는 것 보다는 소비자에게 진정한 가치를 줄 수 있도록 완성도를 높이는데 집중하고 있다”며 “Foldable 구현을 위한 부품 성능과 내구성이 더욱 안정화되고, 새로운 폼팩터 출현에 따른 다양한 use case가 발굴된다면 상용화 시점을 별도로 공개하겠다”고 전했다.

LG Display “올해 OLED TV 매출 비중 20% 중반 예상, 필요하다면 LCD fab을 OLED로 전환 검토”

김상돈 LG Display CFO는 25일에 열린 컨퍼런스 콜에서 “대형 OLED 패널 고객들의 수요와 하이엔드 포지셔닝과 관련해 성공적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작년 OLED TV 매출 비중은 10% 중반대였지만 올해는 20% 중반대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어서, “2018년 대형 OLED 패널 생산은 250~280만대 수준으로써, capa 제한으로 인해 모든 수요를 감당하기는 힘든 상황”이라며, “택 타임 축소를 통한 생산성 확대와 2019년 중국 fab의 대형 OLED 패널 양산, 필요 시 국내 LCD fab을 OLED fab으로 전환을 통해 시장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 할 계획”이라 밝혔다.

또한, 편중 된 고객 구조를 15개 수준으로 확대 하였기 때문에 내년 수익성 측면에서는 좋은 성과를 내도록 노력하겠다고 언급했다.

중소형 POLED와 관련하여 김상돈 CFO는 “내부적으로 투자비가 높고 시장의 변동성이 큰 만큼 굉장히 보수적으로 투자를 생각하고 있다”며 “적절한 범위내에서 리스크를 최대한 고려하여 보수적으로 의사 결정을 해 나갈 것”이라고 답했다.

다만, POLED는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자동차용과 foldable 등 디자인 폼팩터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에 대응해서 지속적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언급했다.

특히 자동차용 POLED는 1차 고객들로부터 반응과 협업은 순조로운 상태라며, POLED의 투자 스탠스는 유지하되 자사의 적응력과 시장의 수요 등을 모니터링 하여 POLED 투자의 속도와 규모를 조절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최근 미디어를 통해 알려진 중소형 POLED의 기술적 문제 질문에 사실 확인이 부족하고 필터링이 안된 것으로 보여진다며 팩트에 기초한 기사는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한편, LG Display의 2018년 1분기 매출은 5조6753억원, 영업손실은 98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7조621억원에서 19.6%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1조 268억원에서 적자로 전환되었으며 당기순이익도 6794억원에서 489억원 손실로 전환되었다.

김상돈 CFO는 “LCD 패널 가격 하락과 원화강세가 실적 부진의 원인으로 분석된다”며,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LCD 투자는 축소하고 OLED 사업 전환을 통해 장기적인 수익 확보에 나설 것”이라 밝혔다.

Can BLUE OLED be used for OLED TV?

Samsung Display selected blue OLED + QDCF (blue OLED) as next generation display technology following LCD TV, and started the necessary development.

Blue OLED is a technology, in which blue light emitted from blue OLED passes through a quantum dot color filter to represent red and green colors (b). The WRGB OLED used in OLED TV is a method in which white light passes through a color filter and implements RGB colors (a).

The ‘2018 OLED Materials Industry Report’ published by UBI Research on April 18 describes whether blue OLED, which Samsung Display has started to develop, can become TV OLED panels. The expected development direction and performance (efficiency and lifetime) of blue OLED + QDCF are analyzed. In particular,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trends (fluorescence, phosphorescence, TADF) of blue emitting material, which is the core material of blue OLED, are covered.

Since blue OLED of Samsung Display is top emission type, the aperture ratio is increased by about 70% compared to the bottom emission, which emits light in the TFT direction, so that 8K resolution and high brightness are realized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WRGB OLE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reach BT. 2020, the UHD color standard,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 in 2012, using QD material with high color reproduction rate as color filter.

In the future premium TV market, 8K and BT. 2020 are necessary conditions for display. WRGB OLED is also being actively developed to implement 8K and BT2020. Attention is focused on the impact of the development of blue OLED in the premium TV market led by WRGB OLED.

In addition, the report analyzes the market status and development trends of the related companies, including overall technology development directions and key issues for new materials such as soluble OLED materials and near IR materials.

OLED smartphones launched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exceeded the average DA 80%

Analysis of OLED smartphones released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shows that the average display size of OLED smartphones and the display area (DA), which represents the size of the display compared to the size of the smartphone,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13 OLED smartphones were launched from five major companies. Samsung Electronics released the largest number of OLED smartphones with 5 models and Vivo launched 3 models, Oppo 2 models, Elephone 2 models and Huawei 1 OLED smartphone respectively.

Of the 13 types of OLED smartphones launched during 1Q, 2018, 12 full screen OLED smartphones have been released with removing the home button on the screen. Among them, four smartphones adopted the notch design.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the smartphones with full-screen OLED, which had been adopted in order to expand the display size from the limited smartphone size from the second half of 2017, were launched in earnest.

<OLED smartphones released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As the full screen OLED smartphones were released, the average size of display and DA also increased sharply.

The average display size of OLED smartphones launched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was 6.01 inch. This is 6.7% up from 2016 and 7.7% up from 2017. In addition, the display area (DA) is 81.6%, which is much larger than 71.6% in 2016 and 74.1% in 2017.

<Change in display size and DA by year>

Meanwhile, the average ppi of OLED smartphones released in 2018 was 422.9, which was 5.9% higher than in 2016, but similar to the average ppi of 422.2 in 2017.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high-resolution OLED smartphones with a QHD level or higher have been released since 2017.

BLUE OLED가 OLED TV에 사용될 수 있을까?

삼성디스플레이가 LCD TV를 이을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blue OLED + QDCF(이하 blue OLED)를 선정하고 개발에 착수 했다.

Blue OLED는 OLED에서 발광 된 청색광이 quantum dot층과 color filter를 통과해 red와 green 색을 나타내는 기술이다(b). OLED TV에 사용중인 WRGB OLED는 백색광이 칼라필터를 통과해 RGB 색상을 구현하는 방식이다(a).

유비리서치가 지난 18일 발간한 ‘2018 OLED 발광재료 산업 보고서’는 삼성디스플레이가 개발에 착수한 blue OLED가 TV용 OLED 패널이 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blue OLED+QDCF의 예상 개발 방향과 기대되는 성능(효율과 수명)을 분석하였으며, 특히 blue OLED의 핵심 재료인 blue 발광재료의 현재 동향과 개발 상황(형광, 인광, TADF)을 다루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blue OLED는 top emission 방식이기 때문에 TFT 방향으로 빛이 방출되는 bottom emission 대비 개구율이 약 70% 증가되어 8K 해상도와 고휘도 구현이 기존 WRGB OLED보다 유리하다. 또한, 색재현율이 높은 QD 재료를 color filter로 사용하여 2012년 국제 전기 통신 연합인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ITU)가 제정한 UHD 색 규격인 BT. 2020에 도달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추후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8K와 BT2020은 display가 갖추어야할 필수조건으로 WRGB OLED도 8K와 BT2020을 구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개발 중에 있다. Blue OLED의 개발이 WRGB OLED가 주도하고 있는 프리미엄 TV시장에서 앞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지 기대된다.

그 밖에도 soluble OLED 재료와 near IR 재료 등 신규 재료들에 대한 전반적인 기술 개발 동향과 핵심 이슈를 다루었다.

2018년 1분기에 출시 된 OLED 스마트폰의 평균 D.A 80% 돌파

2018년 1분기에 출시 된 OLED 스마트폰을 분석 한 결과, OLED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평균 크기와 스마트폰 크기 대비 디스플레이 크기를 나타내는 D.A(display area)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1분기에 OLED 스마트폰은 5개의 주요 업체에서 총 13종이 출시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Samsung Electronics가 5종으로 가장 많은 OLED 스마트폰을 출시하였으며, Vivo가 3종, Oppo가 2종, Elephone이 2종, Huawei가 1종의 OLED 스마트폰을 출시하였다.

출시 된 13종의 OLED 스마트폰 중 홈버튼이 제거 된 full screen OLED 스마트폰이 12종 출시 되었으며, 그 중 노치 디자인이 적용 된 스마트폰은 4종이 출시 되었다. 2017년 하반기부터 제한 된 스마트폰 크기에서 디스플레이 크기를 확장 시키기 위해 본격적으로 적용 된 full screen OLED 스마트폰이 2018년 1분기에 다수 출시 되었다.

<2018년 1분기에 출시 된 OLED 스마트폰>

Full screen OLED 스마트폰이 대거 출시 된 만큼 디스플레이의 평균 사이즈와 D.A도 크게 증가했다.

2018년 1분기 출시 된 OLED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평균 사이즈는 6.01인치로 나타났다. 이는 2016년 대비 6.7% 증가한 수치이며, 2017년 대비 7.7% 증가한 수치다. 또한, D.A(display area)는 81.6%로 나타나며 2016년 71.6%, 2017년 74.1%보다 크게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연도별 디스플레이 크기와 D.A 변화>

한편, 2018년 출시 된 OLED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평균 ppi는 422.9ppi로 나타나 2016년 대비 5.9% 증가하였지만, 2017년 평균 ppi인 422.2ppi와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는 2017년부터 QHD급 이상의 고해상도 OLED 스마트폰이 다수 출시됨에 따라 상향 평준화 된 것으로 분석된다.

Following OLED, notch design to LCD becomes a marketing trend in 2018?

At the 6th China Information Technology Expo (CITE 2018) held in Shenzhen, Guangdong Province, China from April 8 to 11, 2018, a number of panel makers and set makers exhibited notch-designed display panels and smart phones.

 

In CITE 2018, five panel manufacturers exhibited in CITE 2018; BOE, EDO, GVO, Tianma and CSOT. Among them, BOE, Tianma and CSOT exhibited notch-designed display panels.

 

First, BOE introduced 6.2-inch OLED panels applied with notched design. The OLED panel exhibited by BOE has a resolution of 2992 x 1440 with 537 ppi and 400 nit brightness.

 

LCD panels also began to adopt Notch Design. Tianma presented a 6.18-inch LCD panel with a notch design. CSOT also exhibited two 6.25-inch LCD panels and a 6.18-inch LCD panel applied with notched design.

<’Notch design’ display panels exhibited in CITE 2018>

Vivo, a Smartphone maker, also exhibited the X21 with a notch design. The X21, released in March, has a resolution of 1080 x 2280 with 6.28 inch screen.

<Vivo X21, OLED Smartphone with notch design>

Since Apple first unveiled its OLED smart phone with the notch design on iPhone X, a number of smart phone makers such as Vivo, Oppo, and Huawei have begun to release OLED smart phones. In this exhibition, many panel makers presented a large number of LCD panels to which Notch Design is applied. Attention is growing whether Notch Design can become a trend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display market in 2018.

Idemitsu Kosan, Establishment of a Subsidiary related to OLED Materials in the city of Chengdu, China

Idemitsu Kosan reported on a recent press release that it reached a basic agreement with the government of the Chengdu Hi-tech Industrial Development Zone in the city of Chengdu, Sichuan Province, China, on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subsidiary.

 

Based on the growth of display industry in China, Idemitsu Kosan recently announced that it is investing in OLED manufacturing, and it will strengthen its supply structure and technological support in preparation for further growth in the demand for OLED materials in China.

The name of the wholly owned subsidiary of Idemitsu Kosan is Idemitsu Electronic Materials (China) Co., Ltd. with the capital of about JPY 1.3 billion.

 

Idemitsu Kosan said it plans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of the new company’s facility in 2019 and start material production.

OLED에 이어 LCD까지 노치 디자인 적용, 2018년 대세로 자리매김 하나

2018년 4월 8일부터 11일까지 중국 광둥성 선전에서 개최 된 제 6회 중국정보기술엑스포(China information technology expo, 이하 CITE 2018)에서 다수의 패널업체와 세트 업체들이 노치 디자인이 적용 된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을 전시하였다.

CITE 2018에서는 BOE와 Tianma, CSOT, EverDisplay Optronics, GVO 등 총 5개의 업체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전시하였으며, 그 중 BOE와 Tianma, CSOT가 노치 디자인이 적용 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전시하였다.

먼저, BOE는 노치 디자인이 적용 된 6.2인치 OLED 패널을 선보였다. BOE에서 전시한 OLED 패널의 해상도는 2992 x 1440 이며 537 ppi, 밝기는 400 nit다.

LCD 패널도 노치 디자인 대열에 합류하기 시작했다. Tianma는 노치 디자인이 적용 된 6.18인치 LCD 패널을 선보였으며, CSOT도 노치 디자인이 적용 된 6.25인치 LCD 패널 2개와 6.18인치 LCD 패널 1개를 전시하였다.

<CITE 2018에서 전시 된 노치 디자인 디스플레이 패널>

또한, 스마트폰 세트 업체인 Vivo도 노치 디자인이 적용 된 X21을 전시하였다. 3월에 출시 된 X21은 6.28 inch에 1080 x 2280 해상도가 적용되었다.

<노치 디자인이 적용 된 OLED 스마트폰인 Vivo X21>

Apple이 iPhone X에 노치 디자인이 적용 된 OLED 스마트폰을 처음 선보인 이후, Vivo와 Oppo, Huawei 등 다수의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OLED 스마트폰을 잇따라 출시하기 시작하였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다수의 패널 업체들이 노치 디자인이 적용 된 LCD 패널들도 다수 전시함에 따라, 노치 디자인이 2018년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대세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Idemitsu Kosan, 중국 성도시에 OLED 재료 전문 자회사 설립

Idemitsu Kosan은 최근 보도자료를 통해 중국 쓰촨성 성도시 성도 하이테크 산업 개발구(Chengdu Hi-tech Industrial Development Zone) 정부와 계약을 맺고 현지 법인을 설립할 것을 보도했다.

Idemitsu Kosan은 최근 중국의 디스플레이 산업 진흥 정책에 따라 OLED 제조 설지 투자가 활발해 지고 있다며, 중국의 OLED 재료 수요 증가에 대비해 재료 공급 구조 및 기술 지원을 강화 할 것임을 밝혔다.

중국 자회사의 이름은 Idemitsu Electronic Materials (China) Co., Ltd. 이며, 약 13억엔의 자본금을 Idemitsu Kosan에서 모두 투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Idemitsu Kosan은 2019년에 시설을 완공하고 재료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라 밝혔다.

UBI Research, just published ‘AMOLED Manufacturing Process’ report on latest AMOLED process

Recently the smart phone market is led by smart phones that use full screen OLED, and premium TV market is dominated by OLED TVs. In order to realize full screen OLED and UHD resolution large area OLED, different structures and processes have been applied, but it is difficult for the display related companies to grasp them in detail.

UBI Research just published the ‘AMOLED Manufacturing Process’ report, which analyzes the latest processes both for small and medium- sized OLED and large area OLED.

 

As the report analyzes 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process by dividing AMOLED into small & medium size and large area with additional description and diagram for the inspection process of small & medium sized AMOLED, it is expected to help to understand the overall structure and core processes of AMOLED.

 

Chapter 1 of the report covers the overall structure both for small & medium sized OLED and large area OLED, ranging from AMOLED substrates to modules. In Section 2, the double poly (polyimide) process, LTPS TFT & oxide TFT process, pixel process both for OLED & solution processed OLED, process by encapsulation, cell process, and module process are sequentially analyzed. In Chapter 3, the inspection & measurement process of small and medium-sized AMOLED is described with all the list of major equipment. Also, Samsung Display’s pad bending process both for 9-mask LTPS TFT and 13-mask LTPS TFT, and LG Display’s oxide TFT process for large-area OLED are described from Chapter 4. Since the equipment and materials used at each process are analyzed in detail, the report is very helpful to understand easily the latest TFT process.

<Rigid OLED structure, add on type>

 

LG Display 88-inch 8K OLED TV was released to the public through CITE held in Shenzhen, China.

CITE, an electronics trade show held in China on April 10, 2018, had a relatively lukewarm atmosphere with significantly fewer visitors than last year. It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ack of special IT issues, compared to last year when it was crowded with the attention of many general visitors.

 

Especially, there were no new products on the TV appliance side. Most of the exhibitors displayed the same products as those of last year or 2018 CES. On the other hand, LG Display unveiled its 88-inch 8K OLED TV, which had been hiding in its own booth, at the front of the booth. CSOT also showcased OLED displays made with printing technology that had been publicized several times during several conferences. 8K OLED TV is to be the future of the high-end premium TV as it clearly shows the advantages of OLED display such as contrast ratio, sharp image quality and color reproduction through large screen. CSOT’s 31-inch display is meaningful because it exhibited the results of CSOT’s printing OLED technology development. It is preparing for a new investment of about 20K TV line next year. The exhibited product was manufactured by using top emission Ink-jet printing technology to oxide TFT. The peak brightness is 150 nit at 144 ppi.

<88 inch 8K OLED TV – LG Display>

<31inch Ink-jet printed OLED Display – CSOT>

Vivo, which was the first to unveil the smart phone X21 with a built-in fingerprint sensor, displayed only the X21 model at its booth.  As a result of the actual registration testings, the fingerprint was recognized several times compared to the existing fingerprint registration, and the test recognition rate was not bad, but the response speed was slightly slower than opening the screen with the home button. In addition, most panel makers exhibited displays similar to the notch design of the iPhone X, which created various issues over the past six months, and set makers such as Vivo and Oppo released similar notch type smart phones. According to one official of some panel maker, the response to the design is not positive, but he said the company made it along with Apple. In his personal opinion, he preferred full screen design. Despite the sluggish performance of iPhone X, it still shows Apple’s strong market influence that the smart phones of the similar designs were released.

 

BOE, which started the operation of its Chengdu factory in 3Q 2017, exhibited various OLED panels made using plastic substrates. One official of BOE expressed confidence that it is only Samsung Display and BOE that can mass produce flexible OLED panels using plastic substrates across the globe.

유비리서치, 최신 AMOLED 공정을 수록한 ‘AMOLED Manufacturing Process’ 보고서 발간

최근 스마트폰 시장은 full screen OLED를 적용한 스마트폰이 주도하고 있으며, premium TV 시장에서는 OLED TV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Full screen OLED와 UHD 해상도의 대면적 OLED를 구현하기 위해서 이전과는 다른 구조와 공정들이 적용되었으나, 디스플레이 관련 업체들이 이를 상세하게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유비리서치는 중소형과 대면적 AMOLED의 최신 공정을 분석한 ‘AMOLED Manufacturing Process’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본 보고서에는 AMOLED를 중소형과 대면적으로 나눠 구조와 제조 공정을 분석하였으며 추가로 중소형 AMOLED의 검사 공정도 도식화 하였기에 각 업체에서 AMOLED의 전반적인 구조와 핵심 공정들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보고서의 1장에서는 중소형과 대면적 AMOLED의 기판부터 모듈까지 전반적인 구조를 다루었다. 2장에서는 flexible OLED용 기판으로 사용 되는 2중 PI(polyimide) 공정, LTPS TFT와 oxide TFT 공정, 증착 방식 OLED 화소와 solution process OLED 화소 공정, Encapsulation별 공정, cell 공정, module 공정을 순차적으로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중소형 AMOLED의 검사·측정 공정과 주요 장비들을 수록하였다.

또한, 4장부터는 Samsung Display의 9 mask LTPS TFT의 pad bending 공정과 13 mask LTPS TFT의 pad bending 공정, LG Display의 대면적 OLED용 oxide TFT 공정을 수록하였다. 공정별로 사용되는 장비와 재료들을 분석하였기에 최신 TFT 공정을 더욱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dd on type의 rigid OLED 구조>

LG 디스플레이 88인치 8K OLED TV 중국 심천 CITE를 통해 대중에 공개

2018년 4월 10일 중국에서 개최된 전자제품 전시회인 CITE는 작년에 비해 눈에 띄게 적은 참관객들로 비교적 한산한 분위기다. 특히 비즈니스가 아닌 일반 참관객들의 관심을 받아 북적이었던 작년에 비하면 특별한 IT 이슈가 없었던 영향이 아닌가 싶다.

특히 TV 가전 쪽에서는 이렇다할 신제품이 선보이지 않았다. 대부분 작년 혹은 2018 CES 와 같은 제품을 전시한 정도이다. LG디스플레이는 그동안 프라이빗 부스에 숨겨왔던 88인치 8K OLED TV를 부스 전면에 공개하였으며 CSOT은 그동안 여러 차례 컨퍼런스 발표를 통해 공개해왔던 프린팅 기술로 제작한 OLED 디스플레이를 공개했다.  8K OLED TV는 명암비, 선명한 화질, 색감 등 OLED 디스플레이의 장점을 대형화면을 통해 뚜렷이 드러내면서 프리미엄 TV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CSOT의 31인치 디스플레이는 그 품질보다 내년 약 20K  TV라인 신규 투자를 준비하고 있는 CSOT의 프린팅 OLED 기술개발의 성과를 전시했다는 것에서 그 의미가 있다. 전시한 제품은 옥사이드 tft에 전면 발광 Ink-jet프린팅 기술로 제작하였으며 144 ppi에  피크휘도 150 nit이다.

<88인치 8K OLED TV – LG Display>

<31인치 Ink-jet printed OLED Display – CSOT>

얼마전 공개한 지문인식센서 내장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스마트폰X21을 세계최초로 공개한 Vivo는 이번 전시에도 X21모델만으로 부스전시를 진행하였다. 실제 지문등록을 해보니 기존 지문 등록보다 여러 차례에 걸쳐 지문을 인식하였으며 테스트 인식률은 나쁘지 않았으나 홈버튼으로 화면을 여는 것에 비해 응답속도가 조금 늦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지난 약 6개월간 다양한 이슈를 만든 아이폰 X의 노치디자인과 비슷한 디스플레이를 대부분의 패널 업체에서 전시하였으며 Vivo와 Oppo 등 세트업체에서도 비슷한 노치디자인의 스마트폰을 공개하였다.  한 패널업체의 관계자에 따르면 디자인에 대한 반응은 긍정적이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애플을 따라 제작 했다고 하였으며,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Full Screen 디자인을 선호한다고 하였다. 아이폰 X의 실적과 관련한 부정적인 상황에도 불구하고 같은 디자인의 스마트폰들의 공개를 통해 여전히 애플의 시장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었다.

지난해 3분기 Flexible OLED 청두 공장 가동을 시작한 BOE는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해 제작한 다양한 OLED 패널을 전시하였다. 특히, 한 전시관계자는 전세계에서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한 Flexible OLED 패널을 양산할 수 있는 곳은 삼성디스플레이와 BOE 밖에 없다고 전하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Changes in OLED panel market for smartphones

According to the ‘2018 1Q AMOLED Display Market Track’ published by UBI Research, OLED panel shipments for smartphones are projected to grow at an annual average growth rate of 15.8%, from 450 million units in 2018 to 850 million units by 2022. This is a 9.6% decline from the CAGR 25.4% expected in the fourth quarter of 2017.

<Shipment forecast of OLED panel for smartphones >

The reason shipment forecast of OLED panels for smartphones is declined compared with 4Q,2017 is because smartphone trends have been reflected recently. The smartphone market is sluggish due to the prolonged replacement period of smartphones and the lack of new technology. In addition, the average size of smartphones has enlarged faster than expected, and the size of smartphones is expected to increase gradually with the anticipation for the launch of foldable OLEDs, leading to a slowdown in the shipment growth.

 

For flexible OLED, ASPs have risen due to the lack of supply, caused by mainly dependent on Samsung Display, and Chinese set makers are burdened by its high prices. As low-priced full-screen LCDs are emerging, it is forecasted that demand for rigid OLEDs will decline since Chinese set makers are adopting more LCDs than OLEDs in rigid smartphones.

Panel makers in Korea and China have aggressively invested in the Gen6 OLED line in 2016 and 2017. Starting this year, however, they are reviewing the investment and operation time frame of mass production lines, with looking into the smartphone demand. As OLED panels for smartphones account for more than 90% of the total OLED panel market, it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investment flow of panel makers.

 

Meanwhile, ‘2018 1Q AMOLED Display Market Track’ is based on the market performance data and projected system that UBI Research has accumulated over 15 years. It consists of 8 (eight) modules in total: Panel cost analysis, Market forecast, Supply and demand analysis, Market performance (sales), Competitiveness analysis of panel makers, ASP, Supply chain analysis and investment & Mass production line status.

LG Display, showing next generation OLED technology at ‘CITE 2018’

LG Display is showing OLEDs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s in the ‘China Information Technology Expo 2018’ held in Shenzhen, Guangdong, China from April 9 to 11, 2018.

 

CITE is the largest information/electronic exhibition in Asia hosted by China’s Ministry of Communications and the local government of Shenzhen, held every year recording more than 1,500 exhibitors participating and about 160,000 visitors attending.

 

Based on the slogan ‘OLED is already in the spotlight’, LG Display is demonstrating not only picture quality, but also the possibilities of OLED products in terms of application range and design.

 

OLED is widely regarded as the best display in the world in terms of brightness, color accuracy and viewing angle. In particular, large area OLED, has gained popularity in the premium market, which LG Display has developed uniquely and meets various consumer needs with different image quality and new design potential.

 

LG Display exhibited the world’s first 88-inch 8K OLED, which was unveiled earlier this year, attracting visitors. It is the largest of all existing OLED TV products and delivers four times (7680×4320 resolution) sharper picture quality than UHD (3840×2160 resolution). OLED is a self-luminous display, and is easy to realize high resolution 8K since there is no brightness drop due to the reduction of the aperture ratio. With LG Display’s innovative process/design and compensation technology added, OLEDs are expected to lead the ultra-large/ultra-high-definition market by realizing true 8K.

<The first 8K OLED TV in the world, source: LG Display>

LG Display also exhibited the 65-inch CSO (Crystal Sound OLED) with speakers, and won the CITE 2018 Technology Innovation Gold Award for the most innovative products. It is an innovative product that makes the sound system internal to the panel, bringing sound directly from the screen. Instead of listening to the sound coming from separate speakers, it matches the position of the screen and sound, maximizing the sense of presence and immersion.

<65 inch CSO (Crystal Sound OLED), source: LG Display>

In addition, it introduces various application possibilities while showcasing a 77-inch UHD wallpapers OLED, which can be closely adhered to the wall to enhance the interior effect of the living room, and a round shaped pillar product consisting of six 77-inch UHD OLEDs.

 

Meanwhile, LG Display showed OLED lighting in China for the first time in this exhibition. OLED lighting is environmentally friendly because it consumes less power and heat than conventional lightings, and is a premium light source that minimizes eye fatigue by being close to natural light. It is free to implement curved surfaces like OLED displays, and provide consistent light as a unique surface light source. OLED lighting panels are available in various shapes: circular, square, rectangular, and others.

 

Saying “OLEDs with the potential to expand into a variety of applications will provide differentiated value to consumers,” Yeo Sang-Duk, CMO (chief marketing officer) of LG Display commented “We will continue to lead the OLED market with Chinese customers in the Chinese market where the acceptance of new technologies and new products is the fastest in the world.”

 

According to the ‘2018 OLED Display Annual Industry Report’ published by UBI Research in February, the OLED market is predicted to grow at an annual average of 22% from US$35.7 billion in 2018 to US$ 78.2 billion in 2022.

스마트폰용 OLED panel 시장의 변화

유비리서치가 발간한 ‘2018년 1분기 AMOLED Display Market Track’에 따르면 스마트폰용 OLED panel 출하량은 2018년 4.7억대 시장에서 2022년까지 8.5억대 시장을 성장하여 연평균 성장률 15.8%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2017년 4분기에 전망한 연평균 성장률 25.4%보다 9.6% 감소한 것이다.

<스마트폰용 OLED panel 출하량 전망>

유비리서치가 전망한 스마트폰용 OLED panel의 출하량 규모가 2017년 4분기 대비 감소한 이유는 최근 스마트폰 트렌드가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스마트폰의 교체 주기가 길어지고, 신기술 부족 등으로 스마트폰 시장은 정체 되어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평균 사이즈는 예상보다 빠르게 증가하였고, foldable OLED 출시 예상 등으로 추후에도 사이즈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출하량 시장 성장세는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 밖에 flexible OLED는 Samsung Display에 의존된 공급 부족으로 인하여 ASP가 상승하였고, 중국 set 업체들은 flexible OLED의 높은 가격때문에 채용에 부담을 가지고 있다. 낮은 가격의 full-screen LCD가 등장함에 따라 중국 set 업체들은 rigid 스마트폰에 OLED보다는 LCD를 적용하려는 추세가 증가하여 rigid OLED의 수요가 감소될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과 중국의 panel 업체들은 2016년과 2017년에 Gen6 OLED 라인에 공격적인 투자가 진행했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스마트폰 수요 상황을 살피며 양산 라인 가동 시점과 투자에 대한 재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스마트폰용 OLED panel은 전체 OLED panel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panel 업체들의 투자 움직임에 중요한 요소이다.

한편, ‘2018년 1분기 AMOLED Display Market Track’은 유비리서치가 15년간 축적한 시장 실적과 예상 시스템을 바탕으로 패널 실적, 미래 시장 전망, 수요공급 분석, 패널 업체 경쟁력 분석, 서플라이 체인 분석, 패널 제조비용 분석, 투자 상황분석, 패널 가격 분석, ASP 총 8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LG디스플레이,‘CITE 2018’서 차세대 OLED 기술력 과시

LG디스플레이가 4월 9일부터 11일까지 중국 광둥성 선전에서 열리는 ‘제6회 중국정보기술엑스포(China Information Technology Expo) 2018’에 참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된 OLED를 선보인다.

 

올해로 6회째를 맞는 ‘CITE 2018’은 중국 공신부와 선전 지방정부가 주최하는 아시아 최대 정보/전자 전시회로, 매년 1,600여 업체가 참여하고 16만명의 방문객이 참관한다.

 

LG디스플레이는 ‘OLED가 이미 대세다’라는 슬로건을 바탕으로 화질뿐만 아니라 응용 범위와 디자인 측면에서도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OLED 제품을 전시한다.

 

OLED는 명암, 색정확도, 시야각 등 다방면에서 현존 최강 디스플레이로 평가 받고 있으며, 특히 LG디스플레이가 독보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대형 OLED는 차원이 다른 화질과 새로운 디자인 잠재력으로 소비자의 다양한 니즈에 부합하며 프리미엄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올해 초 공개한 세계 최초의 88인치 8K OLED를 전시해 관람객의 눈길을 끌었다. 이 제품은 현존하는 OLED TV 제품 중 가장 큰 사이즈로, UHD(3840×2160 해상도) 보다 4배(7680×4320 해상도) 더 선명한 화질을 구현한다. OLED는 자발광 디스플레이로서 개구율 감소로 인한 휘도 저하가 없기 때문에 8K 초고해상도 구현이 용이하다. 여기에 LG디스플레이만의 혁신적인 공정/설계 및 보상 기술이 더해져 진정한 8K을 구현함으로써 OLED가 초대형/초고해상도 시장을 지속적으로 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세계 최초의 8K OLED TV, 출처: LG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는 스피커 기능을 탑재한 65인치 CSO(Crystal Sound OLED)도 전시해 가장 혁신적인 기술을 선보인 제품에게 주는 ‘CITE 2018 기술혁신 금상’을 수상했다. 이 제품은 사운드 시스템을 패널에 내재화해 화면에서 사운드가 직접 나오게 만든 혁신적인 제품이다. 별도의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를 듣는 것이 아니라 화면과 소리의 위치가 일치하기 때문에 현장감과 몰입도를 극대화 해준다.

<65인치 CSO(Crystal Sound OLED), 출처: LG디스플레이>

이 밖에도, 벽과 완전히 밀착시켜 거실의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77인치 UHD 월페이퍼 OLED와 77인치 UHD OLED 6장으로 구성한 둥근 형태의 필라(Pillar, 기둥) 제품을 선보이며 OLED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한편, 이번 전시회에서 LG디스플레이는 중국에서 최초로 OLED 조명을 선보였다. OLED 조명은 기존 광원보다 전력 소모와 발열이 적어 환경친화적이며, 자연광에 가까워 눈의 피로도를 최소화 시켜주는 프리미엄 광원이다. OLED 디스플레이와 같이 곡면 구현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유일한 면광원으로 균일한 빛을 제공하며 광원 자체를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다.

 

LG디스플레이 여상덕 CMO(최고 마케팅 책임자)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으로 확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OLED가 소비자에게 차별화 된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며, “특히, 신기술과 신제품에 대한 수용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중국 시장에서 중국 고객과 함께 OLED 시장을 지속적으로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유비리서치는 지난 2월 발간한 ‘2018 OLED Display 연간 산업 보고서’를 통해, OLED 시장은 2018년 357억 달러로 연평균 22%성장하여 2022년에는 782억 달러의 규모를 형성할 것이라 전망했다.

OLED smartphones of the notch design type, will become trends in 2018?

Since Apple first unveiled its OLED smartphone in the notch design type on iPhone X, lots of smartphone makers are to release OLED smartphones in succession. Attention is focused whether notch-type OLED smartphones will be become trends in the smartphone market in 2018.

Apple, which introduced notch-type OLED smartphones for the first time, is expected to launch notch-type smartphones for all three iPhone models in 2018. According to Mac Rumors, Apple will release an iPhone X successor with 5.8-inch OLED, a 6.5-inch OLED iPhone X Plus (tentative name) and a 6.1-inch LCD iPhone 9 (tentative name) in the second half of 2018.

<iPhone series expected to be released in 2018, Source: appleinsider.com>

In addition, there have been announcements for OLED smartphones of the notch design type such as Oppo R15, Vivo X21 and Huawei P20 Pro.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notch-type OLED are to be applied to Xiaomi Mi 7 and LG G7.

Huawei unveiled the flagship smartphone Huawei P20 and Huawei P20 Pro through a public event on March 27 in Paris, France. Both models also have a notch at the top of the displays, with a 5.8- inch LCD on the P20 and a 6.1-inch OLED on the P20 Pro, and support AOD (always on display) feature. Huawei also gives you the option to hide the notch. In the display settings for the devices, you can opt to flank the notch with black, so it practically disappears.

<Huawei P20 Pro, Source: bgr.com>

On the other hand, the Xiaomi Mi 7 is expected to adopt a notch design type OLED. According to China Focus, the evidence for a display notch was found since XDA developers noticed the notch related phrase in the Xiaomi operating system ‘MIJU 9’ setting wording while analyzing the leaked firmware file. The Xiaomi Mi 7 is said to support the AOD function along with the notch-type OLED.

The LG G7 is also expected to adopt a notch. Only, it’s incorporating a software trick to make the notch optional. According to the rendering image of xda-developers and the concept rendering video of Science and Knowledge, YouTube channel, LG G7 features a 6-inch OLED with a 19-to-9 aspect ratio and a resolution of 1440 x 3120. The LG G7 launch date will be towards the end of April or beginning of May according to the latest release date rumors.

<Rendering image of LG G7, Source: xda-developers.com>

The notch design is a type of full screen display that is applied to maximize the screen size on a limited smartphone size. Attention is focused whether OLED smartphones of the notch design type are expected to become a new trend in the smartphone market in 2018.

노치 디자인 타입의 OLED 스마트폰, 2018년 트렌드로 자리 잡나

Apple이 iPhone X에 노치(Notch) 디자인 타입의 OLED 스마트폰을 처음 선보인 이후, 많은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OLED 스마트폰을 잇따라 출시하거나 출시할 것으로 예상되며 노치 타입의 OLED 스마트폰이 2018년 스마트폰 시장에서 트렌드로 자리 잡을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최초로 노치 디자인 타입의 OLED 스마트폰을 출시한 Apple은 2018년 3개의 iPhone 모델에 모두 노치 타입의 스마트폰을 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Mac Rumors에 따르면, Apple은 2018년 하반기 5.8 inch OLED가 적용 된 iPhone X 후속 모델과 6.5 inch OLED iPhone X Plus(가칭), 6.1 inch LCD iPhone 9(가칭)을 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2018년 출시 될 것으로 예상되는 iPhone series, Source: appleinsider.com>

뿐만 아니라 Oppo R15, Vivo X21, Huawei P20 Pro 등 노치 디자인 타입의 OLED 스마트폰의 출시 발표가 있었으며, 최근에는 Xiaomi Mi 7과 LG G7에 노치 디자인 타입의 OLED가 적용 될 거라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Huawei는 현지시간으로 27일 프랑스 파리에서 공개 행사를 통해 플래그십 스마트폰 Huawei P20와 Huawei P20 Pro를 공개했다. Huawei P20과 P20 Pro 모두 노치 디자인이며 P20에는 5.8 inch LCD가, P20 Pro에는 6.1 inch OLED가 적용되고 AOD(always on display)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노치 기능을 비활성화 할 수 있는 기능이 더해져 노치 디자인을 숨길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Huawei P20 Pro, Source: bgr.com>

한편, Xiaomi Mi 7에도 노치 디자인 타입의 OLED가 적용 될 것으로 보인다. 봉황망코리아에 따르면, XDA 개발자가 유출 된 펌웨어 파일을 분석한 결과 Xiaomi 운영 체제인 ‘MIJU 9’ 설정 워딩에 노치 관련 문구가 언급되는 것을 감안했을 때 노치 디자인이 적용될 것으로 관측된다고 보도했다. 각종 루머를 종합해보면, Xiaomi Mi 7 에는 노치 디자인 타입의 OLED 탑재와 함께 AOD 기능을 지원할 것으로 알려졌다.

LG G7도 노치 디자인 타입의 OLED가 적용 될 것으로 예상 된다. xda-developers의 렌더링 이미지와 유튜브 채널인 Science and Knowledge에서 제작한 컨셉 렌더링 영상에 따르면, LG G7에는 19대9 화면비와 1440 x 3120 해상도를 지원하는 6 inch OLED가 탑재되었다. 관련 업계에서는 4월 말 국내에서 공식 발표되고 5월 중 정식 출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LG G7의 렌더링 이미지, Source: xda-developers.com>

노치 디자인은 제한 된 스마트폰 크기에서 최대한 큰 화면을 구현하기 위해 적용 된 full screen display의 일종이다. 노치 디자인 타입의 OLED 스마트폰이 2018년 스마트폰 시장에서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유비리서치 OLED 최신기술 동향 세미나 개최

  • 최근 폴더블OLED와 solution processed OLED, 대면적 blue OLED, Micro LED, 양자점(Quantum Dots)등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 및 전망 발표
  • 다양한 디스플레이 소재 기술에 관한 연구 및 주요 기술 동향 발표

유비산업리서치(http://www.ubiresearch.co.kr/, 대표 이충훈)는 오는 4월 26일(목) 서울 코엑스 전시장 3층 Hall E에서 ‘OLED 최신기술 동향 세미나’를 개최 할 예정이다.

CES2018에서 삼성디스플레이는 blue OLED에 quantum dot와 color filter를 사용한 새로운 구조의 OLED 패널을 공개했다. 이 구조의 OLED는 삼성디스플레이의 현재 사업인 모바일용 디스플레이가 아닌 TV용 대면적 OLED제작을 위한 패널이다.

삼성디스플레이가 blue-OLED 개발에 착수하기 위해 대규모 개발팀을 신설한 것은 LG디스플레이가 독보적으로 차지하고 있는 대면적 OLED 패널 사업에 진입하기 위한 사전 포석 단계로 볼 수 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삼성디스플레이가 최근 공개한 계획인 blue-OLED의 사업화 가능성과 LG 디스플레이의 WRGB OLED와 비교하여 어떤 기술인지를 집중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해결 과제인blue OLED용 청색 발광 재료 개발 현황과 blue OLED용 quantum dot 재료 개발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여 전망할 예정이다.

또한 대면적 OLED 패널 이슈와 함께 모바일에서 새로운 Application에 대한 가능성으로 제시되고 있는 폴더블OLED개발 현황과 시장을 전망한다. 이를 통해 올초 계획인 2018년 연말 폴더블 OLED 스마트폰 출시와 관련한 다양한 예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그 이외에 또 다른 대면적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이슈화되고 있는 solution processed OLED와 Micro LED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현황과 개발 이슈 사항 등을 다룰 예정이다.

이번 세미나는 빠르게 진화하는 디스플레이 시장의 기술 트랜드를 예측하여 업체들의 시장현황과 기술 변화를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금번 세미나의 세부 주제들로는 △’ OLED 스마트폰과 폴더블 폰 시장 전망’ △’OLED TV 프리미엄 시장 확대를 위한 핵심 기술 과제 – Solution Process OLED 가능성’ △ ‘폴딩 1R 구현을 위한 핵심기술 과제 – TFT, 기판, 인캡등’ △’BLUE OLED + QDCF TV 를 위한 핵심 기술 과제 : QD재료’ △’OLED TV용 Oxide TFT’ △ ‘OLED 청색 발광 재료 기술 동향 및 전망’ △ ‘Micro LED 프리미엄 TV 제조공정을 위한 핵심 기술 과제 등의 주제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QD-OLED TV, is it to be the next generation premium TV?

Samsung Electronics is currently occupying the premium TV market with QD-LCD TVs, which use ‘PL-QD (photoluminescence quantum dot) technology’. This technology has a mechanism in which the material stimulated by external light re-emits light.

The operating profit of the consumer electronics division (CE), which controls QD-LCD TVs, fell more than Korean won 1 trillion in last year and the operating profit ratio was only 3.6%.

On the other hand, LG Electronics’ HE business division achieved a record operating profit of Korean won 1,566.7 billion and an operating margin of 8.1% through OLED TV. Sony also turned its operating profit into a surplus by quickly taking over the premium TV market with OLED TV.

OLED TV has had a positive effect in driving corporate sales growth.

Samsung Electronics has been developing EL-QLED, with EL-QD (electroluminescence quantum dot) technology, to increase its market share in the premium TV market. However, efficacy, lifetime and mass production technology of quantum dot, which is the material of QLED, is not yet secured.

Recently, QD-OLED TV technology, which uses blue OLED as a light source and that implements red and green colors through a quantum dot color filter (QDCF), is attracting attention.

<Expected structure for QD-OLED, Source: Samsung Display Blog>

By using QDCF, it is possible to easily make desired colors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QD material and improve the color reproduction rate. This is because the color gamut is enlarged to BT2020, so it is close to natural color and it is possible to deliver vivid picture quality more clearly. In addition, QD-OLED TV has a top emission structure, which makes it easy to secure the aperture ratio, thereby improving resolution and screen uniformity.

However, in QD-OLED TV, there are various problems to be solved such as lifetime and efficiency of blue OLED, and technology of ink-jet printing process. Given that the industry is still in the early stages of reviewing the business possibility, QD-OLED TVs are expected to go into mass production after 2020.

Attention is focused on the QD-OLED TV’s entry into the premium TV market and its impact.

QD-OLED TV, 차세대 프리미엄 TV가 될 수 있을까

삼성전자는 현재 ‘PL-QD(photoluminescence quantum dot)기술’ 적용한 QD-LCD TV로 프리미엄 TV시장을 점유하고 있다. 이 기술은 외부 광에 의해 자극된 물질이 다시 빛을 내는 메커니즘을 갖는다.

이러한 QD-LCD TV를 관할하는 가전부문(CE)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1조 이상 줄었으며, 영업 이익률은 3.6%에 그쳤다.

반면, LG전자의 HE사업본부는 OLED TV를 통해 영업이익 지난해 1조 5,667억원, 영업이익률 8.1%로 역대 최고치를 달성하였다. SONY 또한 OLED TV를 앞세워 빠르게 프리미엄 TV 시장을 점유함으로써 영업이익을 흑자로 전환시켰다.

OLED TV가 기업의 매출 상승을 이끄는 긍정적인 효과를 낳은 셈이다.

이에 삼성전자는 프리미엄 TV시장에서의 점유율을 높이고자 EL-QD(electroluminescence quantum dot) 기술을 적용한 진정한 의미의 EL-QLED를 개발에 박차고 있으나, 여전히 QLED의 재료인 quantum dot의 효율과 수명, 양산기술은 아직 확보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blue OLED를 광원으로 사용하고 그 빛이 QDCF(quantum dot color filter)를 통과하여 red와 green 색을 구현하는 QD-OLED TV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예상되는 QD-OLED 구조, 출처:삼성디스플레이블로그>

QDCF를 이용하면 QD재료의 크기를 조절하여 원하는 색을 쉽게 만들 수 있으며, 색 재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색 영역을 BT2020까지 확대하여 자연색에 가까우며 더 선명하게 생생한 화질을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QD-OLED TV는 전면 발광구조로 개구율 확보가 용이해 해상도와 화면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QD-OLED TV에는 blue OLED의 수명과 효율, ink-jet printing 공정기술 확보 등 풀어나가야 할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에 대해 관련 업계에서는 아직 사업 검토가 초기 국면임을 감안할 때, QD-OLED TV의 양산 시기는 2020년은 넘어야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QD-OLED TV가 프리미엄 TV시장에 진입하여 어떠한 지각변동을 불어 일으킬 것인지 귀추가 주목된다.

Flexible, started to be used in the OLED lighting market

The trend toward flexible design is on the rise in the OLED lighting market, too.

At Light + Building 2018, not only LG Display but also OLEDWorks and Sumitomo Chemical exhibited flexible OLED lightings, highlighting their differentiations from LED lightings.

In particular, OLEDWorks and Sumitomo Chemical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from the audience by introducing their flexible OLED panels respectively.

OLED Works released a flexible OLED panel “Brite 3 FL300C” with thin glass. The specifications are 10,000 hours (life time) and 57 lm/W @ 8,300 cd/m2 or 50,000 hours and 63 lm/W @ 3,000 cd / m2.

Sumitomo Chemical’s flexible OLED panel was fabricated through solution process on a PI substrate, with the life time of about 20,000 hours and 50 lm/W @ 1,500 cd/m2 and is.

<Flexible OLED lighting panels, OLEDWorks(left) and Sumitomo Chemical(right)>

The two flexible OLED lighting panels introduced by the two companies, which are prototypes, are similar to the performance of LG Display’s flexible lighting OLED panel, which is currently in production, with 55 lm/W and life time of 30,000 hours. When these two companies start mass production of flexible OLEDs, it is expected to make a big change in the market of flexible OLED lighting panels.

Meanwhile, LG Display, the leader in the OLED lighting market, launched the OLED lighting brand “Luflex” last December. At Light + Building 2018, LG Display exhibited various designs of lightings that can be implemented with flexible OLED lighting panels, which attracted the biggest attention of the fair attendants. Six award-winning products of the LG OLED Design Competition 2017 were exhibited, and there were many comments that the lightings are distinguished from LED lightings by maximizing the advantages of flexible OLED lighting.

<Winning works of LG OLED Design Competition 2017>

 

10 OLED related companies in Germany established ‘OLED Licht Forum’

10 OLED-related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es in Germany announced the founding of the ‘OLED Licht Forum’ at Light & Building 2018, the world’s largest lighting and architecture exhibition in Frankfurt, Germany, on 19 March. The ‘OLED Licht Forum’ is established by ten German companies, including: OLEDWorks, OSRAM, Merck, BASF Coatings, EMDE, Fraunhofer, Hema electronic, Irlbacher, APEVA and Walo-TL to develop and promote OLED lighting technology.

The companies that make up this alliance plan to develop new applications of OLED lighting by sharing their expertise on OLED technology in areas such as research and development, supply chain, and OLED lighting panel manufacturing.

The Forum aims to develop and utilize OLEDs as future lighting solutions through exchange of experiences, conferences, lectures and visits to institutions, thereby providing a broad base for utilizing OLED lighting. As the first part of these activities, it will open an OLED showroom for people to experience OLED lighting directly.

 

“This non-profit alliance aims to leverage their expertise to further develop OLED as a sustainable light source for a variety of applications.” said Michael Grund, Head of OLED & Quantum Materials for the Performance Materials business sector of Merck. The alliance is also dedicated to fostering community within the greater lighting industry by facilitating the exchange of experience and know-how.

OLED lighting for automotive rear lamps, market will be opened in earnest?

OLED lighting applied to automotive rear lamps was introduced again.

At Light + Building 2018 in Frankfurt, Germany held from March 18 to March 23, 2018, LG Display exhibited the rear lamp to be applied to Mercedes-Benz S-class coupe. The OLED rear lamp, which was first shown at the Frankfurt Motor Show last October, is made up of 33 rigid OLED panels and a combination with LED.

<Mercedes-Benz S-class coupe’s OLED rear lamp introduced by LG Display>

The LG Display official expressed expectations for the OLED tail lights saying that “Rigid OLED lighting panel for rear lamps can meet all the requirements of the automobile manufacturers, including 15 years of life time and temperature testing of -40 to 80 degrees Celsius.” ”Since OLED allows greater design freedom and flexibility which other lights cannot follow, the OLED market for automotive rear lamps will grow significantly if the requirements of automakers are satisfied, by OLED panels inclusive of flexible OLED panels.”

Mercedes-Benz S-class coupe with OLED rear lamp is expected to be released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and about 20,000 units will be produced in a limited series.

According to UBI Research, the market for OLED lighting for automobiles will grow at a CAGR of 81.1% percent from 2018 to 2023 to reach over 67 million units in 2023.

<Shipment forecast for OLED lighting panels for Automotive>

Meanwhile, LG Display received great attention from visitors at the Light + Building 2018 exhibition, by showcasing the rear lamp proto type with flexible OLED lighting panel, OLED lighting applied with crystal sound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and various design lights using flexible OLED lighting panels.

<LG Display’s rear lamp proto type applied with flexible OLED lighting panel>

 

OLED lighting 시장에서도 flexible 본격화

OLED lighting 시장에서도 flexible 디자인으로의 추세가 본격화 되고 있다.

Light+Building 2018에서는 LG Display 뿐만 아니라 OLEDWorks와 Sumitomo Chemical에서도 flexible OLED lighting을 전시하며 LED 조명들과의 차별화를 부각시켰다.

특히 OLEDWorks와 Sumitomo Chemical은 flexible OLED panel을 최초로 공개해서 관람객들의 큰 이목을 끌었다.

OLED Works는 thin glass를 적용한 flexible OLED panel “Brite 3 FL300C”를 공개했다. 스펙은 1만시간과 57 lm/W@8,300 cd/m2 또는 5만시간과 63 lm/W@3,000 cd/m2 이다.

Sumitomo Chemical에서 공개한 flexible OLED panel은 PI 기판을 이용하고 solution process로 제작되었으며, 효율은 50 lm/W@1,500 cd/m2 수명은 약 2만시간 수준이다.

두 업체에서 공개한 flexible OLED lighting panel은 프로토타입으로 현재 양산을 진행중인 LG Display의 flexible lighting OLED panel의 성능인 55 lm/W, 3만시간과 비슷한 수준이다. 이 두 업체에서 flexible OLED 양산을 시작하게 된다면 flexible OLED lighting panel 시장에 큰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OLED lighting 시장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LG Display는 지난해 12월 OLED lighting 브랜드인 “Luflex”를 런칭한 이 후 첫 전시회인 Light+Building 2018에서 flexible OLED lighting으로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의 조명을 전시하여 관람객 들의 큰 이목을 끌었다. LG OLED Design Competition 2017의 수상작 6종류가 전시되었으며 flexible OLED lighting의 장점을 극대화 한 디자인으로 LED 조명과의 차별화가 돋보였다는 평들이 주를 이루었다.

독일의 10개 OLED 관련 업체와 연구소, ‘OLED Licht Forum’ 설립

현지 시간으로 3월 19일, 독일 프랑크프루트에서 열리고 있는 세계 최대 조명·건축전시회인 Light & Building 2018에서 독일의 10개 OLED 관련 업체와 연구소가 ‘OLED Licht Forum’ 설립을 발표했다.

‘OLED Licht Forum’은 OLEDWorks와 OSRAM, Merck, BASF coatings, EMDE, Fraunhofer, Hema electronic, Irlbacher, APEVA, WALO-TL 등 독일의 10개 OLED 관련 업체와 연구소가 참여하여 OLED 조명 기술을 개발하고 홍보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포럼을 구성하는 업체와 연구소들은 각자의 OLED 조명 관련 연구와 기술 등의 전문 지식을 공유하여 OLED 조명의 새로운 응용 분야를 발전시킬 계획이다.

포럼은 지속적인 대화와 전문가 교환, 컨퍼런스, 강의, 기관 방문을 통해 OLED를 미래의 조명 솔루션으로 개발하고 활용하며, 이를 통해 OLED 조명을 활용할 수 있는 광범위한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활동들의 첫 번째 일환으로 대중들에게 OLED 조명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OLED 쇼룸을 조성할 예정이다.

한편, Merck의 OLED와 양자재료 책임자인 Michael Grund는 “이 포럼 설립의 목적은 OLED를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광원으로 더욱 더 발전시키기 위해 각 업체들의 전문 지식을 활용하기 위함이다”라며, “다양한 활동을 통해 경험과 노하우를 교환함으로써 OLED 조명 산업 분야의 공동체를 육성할 수 있을 것”이라 언급했다.

자동차 리어램프용 OLED lighting 본격적으로 열릴까?

OLED lighting이 자동차 리어램프에 적용된 제품이 2018년에 다시한번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다.

3월 18일부터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개최되고 있는 Light+Building 2018에서 LG Display는 Mercedes-Benz의 S-class coupe에 적용될 리어램프를 전시하였다. 이번에 전시된 OLED 리어램프는 지난 10월에 열린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최초로 공개 됐었으며 33개의 rigid OLED와 LED가 조합된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LG Display에서 공개한 Mercedes-Benz S-class coupe의 OLED rear lamp>

LG Display 관계자에 따르면 “리어램프용 rigid OLED lighting은 15년의 수명과 -40도~80도의 온도테스트등 완성차 업체에서 제시한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었다.” 라며 앞으로 rigid OLED 리어램프 시장에 대한 기대감을 비쳤다. 또한 OLED만의 디자인 자유도는 다른 조명들이 따라올 수 없으며 flexible OLED까지 완성차 업체들의 요구사항을 만족할 경우 자동차 리어램프용 OLED lighting 시장은 크게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OLED 리어램프가 적용된 Mercedes-Benz의 S-class coupe는 올 상반기 중으로 출시될 예정이며 한정판으로 약 2만대 수준이 생산될 예정이다.

유비산업리서치에 따르면 차량용 OLED lighting 시장은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81.1%로 성장하여 2023년엔 6,700만개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내다봤다.

<Automotive용 OLED 광원 출하량 전망>

한편 LG Display는 이번 Light+Building 2018 전시회에서 flexible OLED lighting panel이 적용된 리어램프 프로토타입들과 세계 최초 Crystal Sound가 내장된 OLED 조명, flexible OLED lighting panel을 적용한 다양한 디자인의 조명을 선보이며 관람객들의 큰 주목을 받고있다.

<LG Display의 Flexible OLED lighting panel이 적용된 rear lamp proto type>

Denso, to invest 30 billion yen in JOLED to compete with Korean panel makers in the automotive display market

<JOLED’s OLED panel introduced by Denso at CES 2018, Source: asia.nikkei.com>

According to the Nikkei newspaper, Japanese auto parts maker Denso is expected to invest 30 billion yen in JOLED to compete with Korean panel makers in the automotive display market.

Through this investment, Denso will have a 15% stake in JOLED and become one of the largest shareholders of the State-backed Innovation Network Corp. Japan Display also owns 15% of JOLED.

It is very important for a next-generation car to have a display system that allows the driver to easily receive information from various sensors and cameras. JOLED is known to actively enter the automotive display market by partnering with Denso, a company that is specialized in automotive electronics and control systems.

JOLED and Denso are planning to develop OLEDs for digital dashboards and mirror camera systems. OLEDs can be flexibly shaped compared to LCDs, allowing for better customization inside the vehicle.

Meanwhile, JOLED supplied 21.6 inch 4K OLED panels to Asus using inkjet technology in January 2018. JOLED plans to mass-produce inkjet-based OLEDs in 2019.

In addition, JOLED is under fund-raising 5 billion yen each from Panasonic, Sony, Sumitomo chemical, and Screen Holdings. The company plans to mass-produce OLED panels at its display plant in Ishikawa Prefecture.

Denso,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한국 패널 업체들과 경쟁을 위해 JOLED에 300억엔 투자

<CES 2018에서 Denso가 공개한 JOLED의 OLED 패널, Source: asia.nikkei.com>

Nikkei 신문에 따르면, 일본의 자동차 부품 제조사인 Denso가 JOLED에 300억엔을 투자하여 자동차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한국 패널 업체들과 경쟁할 것으로 알려졌다.

Denso는 이번 투자를 통해 JOLED의 약 15%의 지분을 갖게 되며 State-backed Innovation Network Corp의 최대 주주 중 하나가 된다. Japan Display도 JOLED의 15%를 보유 중이다.

차세대 자동차에는 운전자가 여러 센서와 카메라에서 수집 된 정보를 쉽게 제공 받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매우 중요하다. JOLED는 자동차용 전자 장치와 제어 시스템에 능통한 Denso와 파트너 관계를 구축함으로써 자동차 디스플레이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려는 것으로 알려졌다.

JOLED와 Denso는 디지털 대시 보드와 미러 카메라 시스템용 OLED를 개발 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OLED는 LCD 대비 유연한 형태의 모양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 내부에 더 잘 맞춤 설계 할 수 있다.

한편, JOLED는 2018년 1월 잉크젯 기술을 이용하여 21.6 inch 4K OLED 패널을 Asus에 공급한 바 있다. JOLED는 잉크젯 기반의 OLED를 2019년에 대량 생산을 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JOLED는 Panasonic과 Sony, Sumitomo chemical, Screen Holdings로부터 각각 50억엔을 모금하고 있다. 이시카와현의 디스플레이 공장에서 OLED 패널을 대량 생산 할 계획이다.

Google-LG Display to show OLED for 1443ppi VR device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Google and LG Display are planned to unveil OLED displays for ultra-high-resolution VR devices with the world’s first 1443 ppi at SID 2018 in Los Angeles in May.

<OLED for VR devices, which Google and LG Display will unveil, Source: Android Police>

According to the Verge, the OLED for VR devices released at SID 2018 has a resolution of 5657 x 3182 (1443 ppi) with 4.3 inches in size.

The resolution is 2.4 times higher than Samsung Electronics’ Odyssey (model no. XQ800ZAA-HC1KR), which is currently known to have the highest resolution of 1400 x 1600 (607ppi), among VR devices supporting HMD. Also, it is about 1.9 times higher than the OLED for VR devices (1824 x 1824, 806 ppi) displayed at iMiD 2017 in August, 2017.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eyes and the display is very short, a VR device has a ‘side door effect’ phenomenon in which the pixel patterns of the display are shown in a lattice form when the resolution is low. In addition, low resolution increases the fatigue of eyes, and it becomes a factor that deteriorates reality due to inaccurate graphic information (image distortion). Accordingly, the related companies are developing panels for VR devices with high resolution that can compensate them.

<VR screen comparison according to resolution, Source: speedvr.co.uk>

OLEDs for VR devices to be exhibited by Google and LG Display are the best in the world at the refresh rate (120Hz), too.

Higher refresh rates can display more screen frames within the same time period to minimize the nausea phenomenon and increase immersion by showing more natural images. Accordingly, Oculus VR, HTC, and Kore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have prescribed the refresh rate of the VR display as 90 Hz or more, and SONY defined as 120 Hz.

According to the ‘Display Market Report for AR and VR’ published by UBI Research in July 2017, the VR devices launched from 2014 to 2016 have a refresh rate of about 65 Hz for LCDs and about 86 Hz for OLEDs. In order to implement a high refresh rate, OLEDs with higher response speeds and lower power consumption than LCDs are more advantageous.

‘Light & Building’에서 CSO조명 세계 최초 공개

LG디스플레이가 3월 18일부터 23일까지(현지시간) 독일 프랑크프루트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조명·건축전시회인 ‘Light & Building 2018’ 에 참가, 혁신적인 디자인의 OLED 조명 제품과 신기술을 선보인다.

LG디스플레이는 이번 전시회에서 세계 최초로 크리스탈 사운드 올레드(Crystal Sound OLED, CSO)의 기술을 조명에 적용하여 스피커처럼 소리가 나는 ‘CSO조명’을 선보인다. CSO 기술은 OLED패널을 진동판으로 이용하여 패널이 직접 떨리며 소리 내는 기술로 OLED TV에 적용되어 프리미엄 TV시장에서 혁신적인 기술로 인정받고 있다.

이번 전시회를 담당하고 있는 LG디스플레이 OLED 조명 영업/마케팅 여준호 실장은, “CSO 조명은 별도의 스피커를 설치하지 않아도 조명에서 새소리나 물 흐르는 소리가 나게 할 수 있어 박물관이나 체험존에 설치할 경우 마치 숲 속에 들어와 있는 듯한 생생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며, “건물 화재/재난 경보시스템이나 커피숍과 같은 매장에서도 스피커 대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LG디스플레이만의 혁신기술이 적용된 제품”이라고 말했다.

LG디스플레이는 이외에도 OLED 조명기술이 접목된 블라인드 및 벽지 등을 이번 전시회에서 새롭게 선보인다. 또한 플렉시블 투명 선반과 최근 레드닷(Red Dot)과 협업한 디자인 공모전 수상작을 통해 얇고 가벼운 OLED조명이 구현하는 세련된 실내 인테리어의 세계를 구현한다. 나아가 자동차 후미등 등 다양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유일한 면광원인 OLED가 표현하는 은은하고 균일한 빛으로 제품의 고급감을 부각시켜 OLED조명의 다양한 적용 가능성을 제시할 예정이다.

LG디스플레이는 연세대 세브란스 안과병원과 함께 OLED광원이 기존광원에 대비해 눈 건강에 상대적으로 덜 유해하다는 연구를 지난해부터 추진하였다. 그 결과, 세포파괴의 원인 물질인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OLED 광원 발현량이 기존광원 대비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LG디스플레이와 세브란스 안과병원은 이번 연구결과를 전시회 기간 중 세미나를 통해 발표할 계획이다.

LG디스플레이 OLED 조명사업담당 박성수 상무는, “OLED조명은 발열이 적어 환경친화적이며 자연광에 가까워 눈의 피로도를 최소화 시켜주는 프리미엄 광원” 이라며, “LG디스플레이가 가지고 있는 독보적인 OLED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디자인의 프리미엄 OLED 조명 제품을 선보이며 세계 조명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LG디스플레이는 2017년 12월 국내에서 공개한 OLED 조명의 근본적인 가치에 초점을 맞춘 대표 브랜드, ‘Luflex(루플렉스)’를 이번 전시회에서 별도의 부스를 마련해 유럽시장에 처음으로 공개한다.

한편. 유비리서치가 2017년 9월 발간한 ‘2017 OLED Lighting Annual Report’에 따르면, 전세계 OLED 조명 패널 시장은 2020년부터 크게 성장해 오는 2021년에는 약 19억 달러의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2017년부터 2025년까지 연평균 85%의 성장률을 보이며 2025년에는 58억 달러의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LG디스플레이가 세계 최초로 공개한 크리스탈 사운드 올레드(CSO) 기술이 적용된 조명제품>

<OLED 조명의 근본적인 가치에 초점을 맞춘 대표 브랜드, ‘Luflex(루플렉스)’>

Next-generation emitting materials, development is under way.

At the 4th OLED KOREA CONFERENCE, Kyulux and CYNORA, the leaders in the development of next generation emitting materials, announced the results of research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Junji Adachi, CEO of Kyulux, said, “We are developing Hyperfluorescence in the form of adding a TADF dopant to the existing fluorescent host and dopant.” He also emphasized that the emission FWHM (full width at half maximum) of Hyperfluorescence is about 35% of that of TADF, and the luminance is about twice as high, and this material can solve the drawbacks of TADF (wide FWHM and low luminance) at the same time.

The latest Hyperfluorescence, which Jundi Arachi introduced, has efficiencies of red 28 cd /A, yellow 43 cd/A, green 81 cd / A, and life span is 10,000 hours, 62,000 hours, and 48,000 hours based on LT50 (1000nit) respectively. The color coordinates are red (0.64, 0.36), yellow (0.46, 0.52), and green (0.28, 0.65).

Andreas Haldi, CYNORA’s Chief Marketing Officer of CYNORA, said that the blue TADF emitter developed by CYNORA now has a color coordinate of 0.16, EQE of 24% and 10-hour lifetime (LT97 @ 700nit).

The performance is more than twice as efficient as the blue material currently used in OLEDs, and the color coordinates (0.10) are similar but the lifespan is short. He added that the Blue TADF emitter is scheduled to be developed within 2018 and will be available for mass production in 2019.

He also mentioned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nd th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thereby minimizing battery consumption if blue TADF emitters with high efficiency are used instead of conventional low-efficiency blue materials. At the same time,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improve the resolution of OLEDs and be applied to large-scale vacuum processing lines of major panel makers.
According to CYNORA, next step is to develop green TADF emitters (2019) and red emitters (2020) after finishing the development of blue TADF emitters (2018). Thus, it might be completed ‘RGB TADF emitter development’ by 2020.

OLED display to embroider the blue sky and stars inside the plane

“OLEDs will be installed on the ceilings and walls of planes to provide customers with a variety of images. It is expected that stars will shine in the ceiling at night and clear blue skies during the day time inside the future airplane.”

Dr. Julian Chang, associate tech fellow of Boeing, presented various advantages of OLED to be applied to the inside of planes in future at the ‘2018 OLED Korea conference’ hosted by UBI Research on March 7~8.

Explaining “OLEDs are capable of full black implementation and excellent color reproduction”, Dr. Julian said that “We can provide customers with realistic blue skies and night skies.” “The planes have a lot of curved surfaces, so easy-to-implement OLEDs have advantages over other displays.”

He also emphasized the advantages of OLED which are helpful to provide information, without limit of viewing angle, to customers and crews who need a lot of information in a narrow space, reduce the blue light that interferes with sleeping, and reduce fuel consumption and carbon dioxide with lower power consumption than LED.
On the other hand, he commented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maximum luminance, reduce the burn-in phenomenon, satisfy FAA regulations, and facilitate easy installation and repair in order for OLED to enter the airplane industry.
Today, OLEDs are expanding beyond mobile devices and premium TVs into automotive and wearable markets. Attention is growing whether customers are given a new experience to taste the realistic sky as OLED is a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plane.

OLED TV continuing to evolve

At the ‘4th 2018 OLED Korea Conference’ hosted by UBI research on March 7-8, Dr. Han Chang-Wook, Chief Research Fellow of LG Display, made a presentation for the development process of OLED TVs and emphasized the image quality of OLED, design flexibility and expandability.

At first, Dr. Han introduced three core technologies including TFT technology, OLED stack technology, and compensation circuit design applied to OLED TVs. He said, “We changed the TFT as top gate coplanar structure for UHD implementation in bottom gate TFT applied to FHD.” He also mentioned “We changed the WRGB OLED pixel structure from 2 stack structure to 3 stack structure to improve the luminance and color reproduction ratio, and designed the compensation circuit so that it does not affect the OLED even on 8K large screen.”

He commented, “Unlike LCDs that control pixels with local dimming, OLEDs have pixel dimming controls, which allows for full black representation and less halo effects”

Explaining that OLED allows greater design flexibility and expandability because of the self-illuminating properties that does not require backlight, he referred to the mirror display and transparent display applicable to indoors, and the world’s first 88 inch 8K OLED TV and 65 inch rollable OLED TV exhibited at CES 2018.

Dr. Han said “We expect large OLED panel production to be tripled, compared to 2016, with the expansion of production lines and yield improvement in 2018. In addition, the company will be able to ship over 6 million large area OLED panels by 2020 through the expansion of its Paju and Guangzhou plants.” He also announced that the company will increase continuously the production for OLED panels, which were 5% of the total display panels in 2016, by 40% by 2020.

Google-LG Display, 세계 최초 1443ppi VR기기용 OLED 공개예정

Google과 LG Display는 오는 5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리는 SID 2018에서 세계 최초 1443ppi를 갖는 초고해상도 VR기기용 OLED 디스플레이를 공개할 예정이다.

<Google과 LG Display가 공개예정인 VR기기용 OLED, 출처: 안드로이드폴리스>

The verge에 따르면, SID 2018에서 공개되는 VR기기용 OLED는 4.3 inch로 5657 x 3182(1443ppi)의 해상도를 가진다.

이는 현재 HMD를 지원하는 VR기기중 가장 우수한 해상도 1400 x 1600(607ppi)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Samsung Electronics의 Odyssey(model no. XQ800ZAA-HC1KR)보다 약 2.4배 높은 수치이다.뿐만 아니라, Samsung Electronics가 2017년 8월 iMiD 2017에서 전시한 VR기기용 OLED(1824 x 1824, 806ppi)보다도 해상도가 약 1.9배 높다.

VR기기는 눈과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가 매우 짧기 때문에, 해상도가 낮으면 디스플레이의 픽셀 무늬들이 격자 형태로 보이는 ‘모기장(Side door effect)’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저해상도는 눈의 피로를 가중시키며, 부정확한 그래픽 정보(영상왜곡)로 인해 현실성을 떨어트리는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업체에서는 이를 보상할 수 있는 고해상도를 가지는 VR기기용 panel을 개발하고 있다.

<해상도에 따른 VR화면 비교, 출처: speedvr.co.uk>

Google과 LG Display가 전시할 VR기기용 OLED는 주사율(120Hz)에서도 세계 최초이다.

주사율이 높을수록 동일 시간안에 더 많은 화면 프레임을 표시해 멀미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좀 더 실제에 가까운 자연스런 영상을 보여줘 몰입감을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Oculus VR과 HTC,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는 VR용 디스플레이의 주사율 기준을 90Hz 이상으로, SONY는 120Hz로 규정한 바 있다.

또한, 유비리서치는 2017년 7월 발간한 ‘AR과 VR용 디스플레이 시장 보고서’를 통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출시된 VR기기의 주사율은 LCD는 약 65Hz, OLED 은 약 86Hz 수준이며, 높은 주사율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LCD에 비해 높은 응답속도와 낮은 전력소모를 가지는 OLED가 더 유리하다고 설명하였다.

 

차세대 발광재료, 개발 어디까지 왔나

2018 OLED KOREA CONFERENCE에서 차세대 발광재료 개발 선두 주자인 Kyulux와 CYNORA가 연구결과와 앞으로의 개발방향을 발표하였다.

Kyulux의 CEO, Junji Adachi는 ‘기존의 형광재료 host와 dopant에 TADF dopant를 첨가하는 형태의 hyperfluorescence를 개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hyperfluorescence의 발광 반치폭은 TADF의 약 35% 수준이며, 휘도는 약 2배이상이며, 이 재료가 TADF가 가진 단점(넓은 반치폭과 낮은 휘도 등)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Junji Adachi가 공개한 최신 hyperfluorescence의 효율은 red 28 cd/A, yellow 43 cd/A, green 81 cd/A이며, 수명은 LT50(1000nit)기준 10,000시간, 62,000시간, 48,000시간이다. 색좌표는 red (0.64,0.36), yellow(0.46, 0.52), green(0.28, 0.65)이다.

한편, CYNORA의 chief marketing officer, Andreas Haldi는 현재 CYNORA가 개발한 blue TADF emitter의 색좌표는 0.16, EQE는 24%, 수명(LT97@700nit)은 10시간이라 밝혔다.

이러한 성능은 현재 OLED에 사용되는 blue 재료보다 효율은 2배 이상 높으며, 색좌표(0.10)는 비슷한 수준이나, 수명은 부족하다고 설명하였다. Blue TADF emitter는 2018년 개발이 완료되어 2019년 양산에 적용될 것이다고 덧붙였다.

또한, 기존의 낮은 효율을 갖는 재료 대신 고효율의 blue TADF emitter를 사용한다면, 제조단가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이 감소되어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동시에 OLED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주요 panel 업체의 대규모 진공 공정 라인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언급했다.

CYNORA는 blue TADF emitter가 개발 완료(2018)된 후, green TADF emitter, red TADF emitter 순으로 개발, 2020년까지 RGB TADF emitter 개발을 완료할 예정이다.

 

비행기 내부에 푸른 하늘과 별을 수놓아 줄 OLED display

“OLED는 천장과 벽 등에 설치되어 고객들에게 다양한 이미지를 제공할 것이다. 미래의 비행기 내부에서는 밤에 천장에서 별이 빛나고 낮에는 맑고 푸른 하늘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지난 8일 유비리서치 주최로 열린 ‘2018 OLED Korea conference’에서 Boeing의 associate tech fellow인 Julian Chang 박사는 이처럼 언급하며 향후 비행기 내부에 적용 될 OLED의 다양한 장점들을 언급했다.

Julian Chang 박사는 “OLED는 완벽한 블랙 구현과 뛰어난 색 재현율이 강점이다”라며 “고객들에게 실제와 같은 푸른 하늘과 밤 하늘을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비행기에는 곡면이 많기 때문에 flexible 구현이 용이한 OLED가 다른 디스플레이보다 강점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서 협소한 공간에서 많은 정보를 필요로 하는 고객과 승무원들에게 OLED는 시야각 제한 없이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설명하였으며, 수면을 방해하는 blue light의 저감 효과와 LED 보다 낮은 소비전력으로 연료 절약과 이산화탄소 절감이 가능하다고 장점들을 열거하였다.

한편, OLED가 비행기 산업 내부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최대 휘도 향상과 burn-in 현상 절감, FAA 규정 만족, 설치와 수리의 용이함 등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현재 OLED는 mobile 기기와 premium TV 시장을 넘어 automotive와 wearable 시장으로 그 영역을 점점 넓히고 있다. OLED가 비행기 내부에도 적용되어 고객들에게 실제 하늘을 체험 할 수 있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OLED TV

3월 7일 유비리서치가 주최한 ‘2018 OLED 코리아 컨퍼런스’에서 LG Display의 한창욱 수석연구위원은 OLED TV의 발전 과정을 소개하며 OLED의 화질(image quality)과 디자인 유연성(design flexibility), 확장성(expandability)을 강조하였다.

먼저 한 수석연구원은 OLED TV에 적용 된 TFT 기술과 OLED stack 기술, 보상회로 설계 등 3가지 핵심 기술들을 소개하였다. 한 수석연구원은 “FHD에 적용 된 bottom gate TFT에서 UHD 구현을 위해 top gate coplanar 구조로 TFT를 변경하였다”고 설명하였으며, “휘도와 색재현율 향상을 위해 2 stack 구조에서 3 stack 구조로 WRGB OLED 화소 구조를 변경하였으며 8K 대형 화면에서도 OLED에 영향이 없도록 보상 회로를 설계하였다”고 밝혔다.

이어서 한 수석연구원은 OLED의 최대 장점으로 “local dimming으로 화소를 제어하는 LCD와 다르게 OLED는 pixel dimming으로 화소를 제어하기 때문에 완벽한 블랙 표현이 가능하고 윤곽선 주변이 빛나보이는 halo effect가 적다”고 강조했다.

또한, OLED는 back light가 필요 없는 자발광 디스플레이기 때문에 디자인 구현과 확장성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 예로 실내에서 적용 가능 한 mirror display와 transparent display를 언급했으며 CES 2018에서 선보인 세계 최초의 88 inch 8K OLED TV와 65 inch rollable OLED TV를 언급하였다.

한편, 한창욱 수석연구원은 “2018년에는 생산라인 확대와 수율 개선을 통해 대형 OLED 패널 생산량이 2016년보다 3배 수준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파주와 광저우 공장 증설을 통해 2020년에는 600만장 이상의 대형 OLED 패널 출하가 가능할 것”이라 밝혔다. 또한, 2016년 전체 디스플레이의 5% 수준이었던 OLED 패널 생산량을 2020년까지 40% 이상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Inkjet might take advantageous position for Gen11 super large OLED mass production line!

Toshiaki Arai, chief technologist of JOLED and James Lee, deputy chief engineer of TCL made presentations for the solution processed OLED on March 7 at the ‘4th OLED Korea conference’ held at Novotel Ambassador Hotel in Gangnam, Seoul, hosted by UBI Research.

Toshiaki Arai, chief technologist of JOLED announced that JOLED will focus on the medium-size OLED market for 10 ~ 30 inch tablets with solution processed OLED. He explained “OLEDs for mobile devices are currently targeting over 500 ppi and at least 800 ppi, which is hard for today’s printing technology. However, current printing technology is competitive enough since the medium-size OLED for tablets is 300 ppi level”.

He also added, “While it is required to divide the mother glass with the deposition technology currently in use, JOLED’s oxide TFT and solution process OLED can be adopted to Gen 8.5 as well as Gen 11 without cutting the mother glass. Thus, we expect panel production to be increased significantly.

James Lee, deputy chief engineer of TCL commented that the next-generation premium TVs are to implement 70-inch or larger screen, full black representation, high-definition at 8K resolution, and design differentiation such as slim & flexible. He said “solution process technology enables large RGB OLED implementation, which can improve image quality and reduce cost by using less material. TCL is currently developing solution process technology, which might be expected to be applied to its planned Gen 11 factory. ”

He commented “OLED TV prices are now approaching the price of LCD TVs based on 65-inch standards. In 2021, OLED TVs and LCD TVs will not differ in price, and OLED TVs will become the mainstream of the premium TV market. ”

Also he emphasized “Gen11 OLED needs to improve mura (unevenness) free technology, but it can produce six sheets of 75-inch OLED panels, and it is three times the production volume of GEN 8.5, with a cutting efficiency rate of 95% or more. In order for OLED TV to become the mainstream of the TV marke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Gen 11 solution process OLED factory. ”

Gen11 초대형 OLED 양산라인, inkjet으로 선점!

3월 7일 유비산업리서치 주최로 서울 강남 노보텔앰배서더 호텔에서 열린 ‘제 4회 OLED Korea conference’에서 JOLED의 Toshiaki Arai chief technologist와 TCL의 James Lee deputy chief engineer는 solution process OLED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JOLED의 Toshiaki Arai chief technologist는 solution process OLED로 10~30 inch대 태블릿용 중형 OLED 시장을 집중 공략할 것을 밝혔다. Toshiaki Arai chief technologist는 “mobile 기기용 OLED는 현재 500 ppi를 넘어 최소 800 ppi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어 현재 프린팅 기술로는 힘들다. 하지만 태블릿용 중형 OLED는 300 ppi 수준이기 때문에 현재 프린팅 기술로는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현재 적용 되고 있는 증착 기술은 원장 분할이 필수이지만, JOLED의 oxide TFT와 solution process OLED는 Gen8.5를 넘어 Gen11에서도 원장분할 없이 공정이 가능하기에 패널 생산량도 대폭 확대 될 수 있을 것”이라 전망했다.

 

TCL의 James Lee deputy chief engineer는 차세대 premium TV는 70 inch 이상의 대형 화면과 완벽한 블랙표현과 8K 해상도의 고화질, slim & flexible 등의 디자인 차별화 임을 언급하였다. James Lee deputy chief engineer는 “solution process 기술이 대형 RGB OLED 구현이 가능하여 화질 향상이 가능하고 적은 재료 사용으로 원가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TCL은 현재 solution process 기술을 개발 중으로 Gen11 공장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어서 “현재 65 inch 기준 OLED TV 가격이 LCD TV 가격에 근접하고 있다”며 “2021년에는 OLED TV와 LCD TV 가격이 차이가 없을 것이며 OLED TV가 premium TV 시장의 주류로 자리잡을 것”이라 설명했다.

또한, “Gen11 OLED는 Mura free 기술 향상이 필요하지만, 75 inch OLED 패널을 6장 생산이 가능하며 Gen8.5 대비 3배 증가한 생산량과 95% 이상의 면취율이 가능하다”고 설명하며 OLED TV가 TV 시장의 주류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Gen11 solution process OLED 공장 건립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라 강조했다.

Blue TADF emitters getting ready for commercial production

Next week, the leading OLED players will meet in Seoul at the 4th OLED Korea Conference and discuss new technologies for next-generation displays. One of the most exciting new technologies is the TADF (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 technology and this topic will be not missing at this conference, which is hosted by UBI Research.

The TADF technology is receiving much attention as the main method for improving efficiency of blue emitting materials. High-efficiency blue OLEDs are currently missing on the market and the demand for this material is constantly growing year by year.

A high-efficiency TADF blue would enable display manufacturers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isplay. Thus, consumers would benefit from a longer battery life of their mobile devices and less energy consumption in large displays. Additionally, an efficient blue would enable to make smaller blue pixels to yield the same amount of light, which would pave the way again to increase the resolution and to offer a better picture quality. Both improvements could significantly increase consumer satisfaction. CYNORA, the current leader in TADF, has shown that its TADF blue material surpassed previous achievements of high-efficiency blue emitters. The latest performance of CYNORA’s materials is getting very close to the customer requirements and thereby also to the market entry barrier. An update of the status of CYNORA’s TADF emitters and their implementation into next-generation AMOLED displays will be shown by the CMO, Dr. Andreas Haldi, during his talk at the OLED Korea Conference. Dr. Haldi will present the newest OLED device results with a deep blue material and disclose some more details on how CYNORA is working very closely with the OLED manufacturers towards mass production.

This most challenging material, efficient blue, is on everybody’s radar as a better efficiency in the blue region is one of the main barriers to OLEDs improvement. But besides blue, TADF materials are also expected to reach the market requirements for green and red in the next couple of years. Thus, TADF can be used efficiently for all RGB pixels, which is something no other emitter technology was able to do so far.

상업적인 생산 준비중인 블루 TADF(열 활성 지연 형광물질) Emitter

다음 주, 주요 OLED 산업 관계자들은 서울에서 열리는 제 4 회 OLED Korea Conference에서 차세대 디스플레이 관련 새로운 기술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가장 흥미 있는 새로운 기술 중 하나는 TADF (열 활성 지연 형광) 기술이며, 이 주제는 UBI Research에서 주최하는 이번 컨퍼런스에서 놓치지않고 다루어 질 것이다.

TADF 기술은 청색 발광 물질의 효율을 개선하기위한 주요 방법으로서 많은 주목을 받고있다. 고효율 블루 OLED는 현재 시장에 나와 있지 않으며, 이 소재에 대한 수요는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고효율 TADF 블루는 디스플레이 제조업체가 디스플레이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소비자는 휴대 기기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고 대형 디스플레이에서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효율적인 블루를 사용하면 동일한 양의 빛을 산출 할 수 있는 보다 작은 블루 픽셀을 만들 수 있으므로 해상도를 높이고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두 가지의 개선 사항은 소비자 만족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TADF의 선도업체인 CYNORA는 TADF 블루 소재가 고효율 블루 Emitter의 이전 성능을 넘어섰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CYNORA 재료의 최신 성능은 고객의 요구 사항에 매우 근접하고 있으며, 따라서 시장 진입의 장벽이 될 수도 있다. CYNORA의 TADF Emitter 현황 및 차세대 AMOLED 디스플레이로의 구현에 대한 업데이트는 OLED Korea Conference 에서 CYNORA의 CMO인 Andreas Haldi 박사에 의해 발표 될 것이다.  Haldi 박사는 효율적인 블루 재료의 최신 OLED 디바이스에 대한 적용 결과를 설명하고, CYNORA가 대량 생산을 위해 OLED 제조업체와 긴밀하게 협력하는 방안에 대해 자세히 언급할 예정이다.

기술적으로 가장 도전적인 물질인 효율적인 Blue는 모든 관계자의 관심이 집중되는 분야로서, Blue 영역에서의 더 나은 효율성은 OLED 개선의 주된 장벽 중 하나이다.

그러나 Blue 이외에, TADF 재료는 앞으로 몇 년 안에 Green과 Red에 대한 시장 요구 사항에 도달 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TADF는, 지금까지 Emitter기술이 할 수 없었던, 모든 RGB 픽셀에 대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2018 MWC- Release of LG Electronics’ V30S model, postponing announcement of new smart phone

LG Electronics released some of its stance, through 2018 MWC, on upgrading the entire mobile lineup, which led to lots of curiosities by the various related articles.

According to the exhibitors, the company will try various strategies from this year and will not necessarily follow its competitors in launching new models. In terms of the overall model reorganization of the G series and the V series, it has decided to concentrate on the essence of the phone for the time being rather than making a big change. With regard to the V30S’s release, it is said that V30S is different from V30 in terms of taking bright and clear pictures in the dark place by improving the illumination including AI application to the camera modules, and the enhancement of the stereo system. Also, V30 users might be able to experience soon the same performance as V30S through software upgrade.

Though it was not revealed at this MWC exhibition, the new premium mobile model to be launched this year will adopt the ‘ ThinQ AI’. It was announced that the new model was released after the V30 in a separate private booth; however, the release time has not yet been confirmed.

 

Regarding 5G, which is one of the biggest trends in this exhibition, North America and other regions are rapidly moving, and LG Electronics has also been working hard on this inclusive of the development of foldable smart phone.

 

Unlike last year’s show with various watch models, LG Electronics’ MWC booth is a little reduced as it seems to prepare for the next. The V30S is the only OLED display product, and most of the exhibits highlighted the enhanced performances of the V30S, such as the experience of a Hi-Fi QUAD stereo system through wearing a headset and the experience of a camera’s Bright Mode in the darkroom. In addition, the K10 (K10, K10 + – 5.3 inch HD) series, which are entry level models, has been released through this exhibition.

Leading the OLED market of Samsung Display continues this year

According to OLED Market Track, which was published by UBI Research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AMOLED sales and shipments amounted to US$ 8.86 billion and 130 million units, respectively, in the fourth quarter of 2017. The sales amount is 100.2% higher than the fourth quarter of 2016. Among them, Samsung Display’s sales and shipments account for 91.6% and 94.5%, respectively, and keep its absolute position.

 

In the fourth quarter of 2017, the total number of AMOLED market for smart phones was 120 million units, representing 95.5% of the total market. AMOLED panels for smart phones sold by Samsung Display accounted for 97.5%, with 119 million units.

 

In 2018, the AMOLED market for smart phones is expected to reach 470 million units, with Samsung Display expecting its market share to maintain over 91.5 % with 430 million units.

<4Q’17 AMOLED market>

<2018 AMOLED market for smartphone>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 독주는 올해도 계속된다

유비리서치가 발간한 2018년 1사분기 OLED Market Track에 의하면 2017년 4사분기 AMOLED 매출액과 출하량은 각각 88.6억달러와 1.3억개로 집계되었다. 매출액은 2016년 4사분기 대비 100.2% 증가한 수치이다. 전체 AMOLED 시장에서 삼성디스플레이의 매출과 출하량 점유율은 91.6%와 94.5%로서 절대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스마트폰용 AMOLED 시장은 1.2억개로서 전체 시장에서 95.5%를 차지하였고, 그 중 삼성디스플레이가 판매한 스마트폰용 AMOLED가 1.19억개로서 97.5%를 점유하였다.

2018년 스마트폰용 AMOLED 시장의 예상 규모는 4.7억개이며 삼성디스플레이가 4.3억개로 91.5%점유율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4Q’17 AMOLED market>

<2018 AMOLED market for smartphone>

2018 MWC- LG전자 신규 스마트폰 발표 미루고 V30S 모델 공개

LG전자는 2018 MWC를 통해 그간 다양한 기사들로 궁금증을 자아내게 했던 전면적인 모바일 라인업 업그레이드에 대한 입장을 일부 공개했다.

전시 관계자에 따르면 올해부터는 전략을 다양하게 시도할 것이며 신모델 출시에 관련해 꼭 경쟁사를 따라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했다. G시리즈와 V시리즈의 전체적인 모델 개편과 관련해서도 당분간 큰 변화를 주기 보다는 폰의 본질에 집중하고자 한다고 마무리 했다. 또한 V30S의 공개와 관련해 V30와 다른 점은 카메라에 AI가 적용을 비롯한 조도개선을 통한 어두운 곳에서 밝고 선명한 사진을 찍는 점과 스테레오 시스템의 향상 정도라고 밝혔으며, V30 사용자는 조만간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통해 동일한 성능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달했다.

이번 MWC 전시에는 공개하지 않았지만 올해 나올 신규 프리미엄 모바일 모델에도 씽큐AI가 적용될 예정이라고 했다. 별도 프라이빗 부스에서 V30뒤를 이을 해당 신모델을 공개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출시 시기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이번 전시장 가장 큰 트렌드중 하나인 5G와 관련해서도 북미등 지역에서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LG전자 역시 폴더블 폰 기술개발과 더불어 내부에서 열심히 준비하고 있음을 내비쳤다.

지난해 다양한 시계모델을 전시한 것과 달리 LG전자의 이번 MWC 부스는 다음을 준비하는 것처럼 약간 축소된 분위기다. OLED 디스플레이 적용 제품은 V30S가 유일하며 대부분의 전시가 헤드셋 착용을 통한 Hi-Fi QUAD스테레오 시스템체험, 암실에서의 카메라Bright Mode체험등 V30S의 향상된 성능 하나하나를 강조하는 전시에서 그쳤다. 이밖에 이번 전시를 통해 보급형 모델인 K10(K10, K10+ – 5.3인치 HD)시리즈를 공개하였다.

갤럭시S9, ‘엑셀런트 A+’ 최고 화질 평가

갤럭시S9이 세계적인 디스플레이 전문 기관인 미국 디스플레이메이트의 화질평가에서 기존 기록을 경신하며 역대 최고 점수 ‘Excellent A+’등급을 획득했다.

디스플레이메이트가 28일(현지시간) 공개한 평가 결과에 따르면 갤럭시S9은 주요 평가항목인 밝기, 야외시인성, 색재현력 등에서 갤럭시S8의 디스플레이 성능을 뛰어넘었을 뿐만 아니라, 색 정확도에서도 디스플레이메이트 평가 사상 가장 높은 정확도를 기록했다.

갤럭시S9은 5.8 inch 크기에 3K QHD+(2960×1440) 해상도의 OLED를 탑재해, 크기와 해상도 면에서 전작인 갤럭시S8과 동일한 규격을 유지했으나, 색 정확도와 밝기, 반사율 등 화질 관련 성능은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갤럭시S9는 디스플레이메이트의 색 정확도 평가에서 0.7 JNCD(DCI-P3, 시네마 모드 평균 기준)로 측정돼 갤럭시S8의 2.7 JNCD와 비교해 정확도가 크게 향상됐다. JNCD 수치가 1보다 낮은 경우에 인간의 눈으로 색의 차이를 구별할 수 없는 완벽에 가까운 수준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메이트는 “OLED는 이미 LCD를 넘어 최고의 성능을 발휘하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기술로 자리잡았다” 며 “삼성디스플레이는 이에 더해 완벽한 화질과 정확한 색표현을 위해 정밀한 최적화(캘리브레이션)에 집중했고 종합평가에서 엑셀런트A+ 화질 등급을 획득했다”고 분석했다.

또한, 갤럭시S9은 최대 밝기와 반사율도 개선되었다. 갤럭시S9의 최대 밝기는 1,130 cd/㎡로 갤럭시S8의 1,020 cd/㎡보다 10.7% 더 밝아졌다. 화면 반사율도 4.4%로 낮아져 역대 최저치를 기록, 야외 시인성 개선에 기여했다.

한편, 갤럭시S9은 고화질 디스플레이 규격 인증 기관인 ‘UHD얼라이언스’로부터 고품질 HDR 영상 재생을 지원하는 기기에 부여하는 ‘모바일HDR프리미엄’ 인증을 받았다.

디스플레이메이트는 갤럭시S9이 1,130cd/㎡의 밝기와 완벽한 블랙화면, 무한대의 명암비를 구현하고 최신 디지털 시네마 국제색표준인 DCI-P3(Digital Cinema Initiatives)까지 113%를 만족해 고품질의 영화나 컴퓨터 그래픽을 감상하기에 최고의 스마트폰이라고 설명했다.

레이몬드 소네이라 디스플레이메이트 대표는 “삼성의 갤럭시S9 의 디스플레이는 완벽함과 다름 없는 색 정확도를 갖췄다”며 “새로운 기록을 세운 매우 인상적인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라고 총평했다.

2018 MWC – S9공개와 더불어 삼성전자의 시장유지 전략 공유

매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obile World Congress(MWC)는 스마트폰 브랜드들의 그 해 신규 모델을 공개하는 자리로 유명하다. 하지만 올해는 삼성전자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스마트폰 업체들이 큰 변화가 없는 혹은 더 이상 획기적인 변화가 힘든 신규 라인업을 공개 전시하였다.

특히, 2018년 2월 26일 월요일 진행된 기자간담회를 통해,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시장이 전체적으로 교체주기가 늘어나고, 점차 포화상태에서 성장률이 둔화될 것이라는 우려해 대해 몇가지 고민 전략을 공유하였다.

해당 업체 관계자에 따르면 앞으로 크게 3가지 방향으로 전략 집중할 것이라고 전했다. 암묵적인 평균 교체주기가 되어 있는 2년내 갤럭시 S7를 반납하거나 특정 경쟁사폰을 반납하면 잔존가를 보상하는 글로벌 트레딩 제도 마련, 고객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신규 고객 확보에 힘쓰것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는 애플에서 이미 리사이클링이라는 제도를 통해 시행하고 있다.

또한, 고객 데이터를 활용한 타겟 마케팅을 통해 교체주기 단축하도록 유도하며 갤럭시 스튜디오와 갤럭시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기능등을 직접 체험 할 수 있는 체험 마케팅을 통한 고객 충성도 확보할 전략이 그것.

노트 8 판매는 당초 1100만대 목표보다는 조금 덜 판매되었으나 노트는 B2B 수요가 꾸준하며 고정 고객이 따로 있음. 노트9은 상당부분 정해져 있으며 다른 고객층과 차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정도만 밝힐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이번 전시에 공개한 S9은 시기를 앞당긴 판매 계획으로 S8보다 더 좋은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MWC를 통해 공개한 신규 모델인 S9의 초점은 카메라, 더 나은 인피니티 5.8인치 디스플레이, 스테레오 사운드, 진정하게 IoT중심이 되는 휴대폰, 카메라는 슈퍼 슬로모, 저조도, AR이모지 등이다. 현재까지의 전시 반응은 생각보다 괜찮은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전시장의 관람객들은 자신의 모습을 이모티콘화 하는 체험을 즐기고 있었다.

이밖에도 새롭게 OLED 디스플레이가 적용되는 A8모델(5.6인치 FHD+)과 A8+(6.0인치 FHD+), 갤럭시 핏2프로, 기어 스포츠 등 다양한 OLED 적용 모델이 전시되었다.

2018 MWC – Sharing Samsung’s market retention strategy with S9 introduction

The Mobile World Congress (MWC), which takes place every year in Barcelona, Spain, is well known for releasing new models of smart phone brands that year. This year, however, Samsung Electronics and most of the smart phone makers exhibited new line-ups that did not change much or were hard to change dramatically.

In particular, through a press conference held on Monday, February 26, 2018, Samsung Electronics shared some strategies about concerns that the smart phone market will be experiencing an overall shift in replacement cycles and that the growth rate will slow down gradually.

 

According to the company, the company will concentrate its strategy in three major directions. It plans to set up a global trading system that will compensate for the remaining price by returning the Galaxy S7 within two years of an implicit average replacement cycle or by returning a competitor’s phone, which might be helpful to secure new customers while preventing current customers escape. This is already done by Apple in a system called recycling.

 

Another strategy is to secure customer loyalty through experiential marketing that enables users to experience various functions of Galaxy Studios and Galaxy by inducing them to shorten replacement cycles through targeted marketing using customer data. Note 8 sales were slightly lower than originally target at 11 million units, but note series have steady B2B demand and fixed customers. Note 9 is largely defined and can only be described as trying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other customers at this time. The S9, which was unveiled at the show, said it expects better results than the S8 with its timely sales plan.

 

The S9, a new model released through the MWC, focuses on camera functions, better Infiniti 5.8-inch displays, stereo sound and IoT-centered mobile phones, redesigned with a new dual aperture lens that powers an innovative low light camera, Super Slow-mo video capabilities and personalized AR Emoji. The exhibition response to date has been evaluated to be a better level than expected, and visitors at the exhibition hall were enjoying the experience of emoticonizing themselves.

In addition, a variety of OLED models including the A8 model (5.6-inch FHD +), A8 + (6.0-inch FHD +), Galaxy Fit 2 Pro and Gear sports, were exhibited.

UBI Research, ‘2018 OLED KOREA Conference’ to be held during March 7~8

Main Contents

– Presentations from major panel makers in Korea, China and Japan: Samsung Display, LG Display, Visionox, JOLED and TCL.

– Future display market forecast and confirmation through announcements of various display application companies such as Sony, Boeing and Microsoft. 

OLED KOREA CONFERENCE, the high-profile global OLED conference, will be held at Novotel Ambassador Gangnam, Seoul, Korea, on March 7-8, 2018.

The 4th OLED Korea Conference is to be proceeded on the theme of ‘OLED with opportunity & adding value to your business’ for two days, and is expected to become a wonderful forum for exchanging various information and opinions together with the presentations about key technology development, issues, overall OLED market and investment status.

The OLED industry, which is continuing to grow, is expected to surpass the LCD market share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market this year. According to UBI Research, specialized in OLED research, the shipments for small and medium sized OLED panels for mobile devices are projected to grow by 53.2% YoY to 630 million units this year and the shipments of OLED panels for TV to about 2.4 million units, up 47.2% YoY.

In particular, as OLED market growth has become clear, the investment of major companies is increasing remarkably. Recently, LG Display plans to invest about 9 trillion won in OLED facilities this year, followed by about 6.7 trillion won last year.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OLED investment in China’s display panel makers is also aggressively progressing.” Since major panel makers such as Samsung Display, LG Display, Visionox, TCL and JOLED will gather together to present major business issues in the conference, 2018 OLED KOREA is getting a lot of attentions from industry people.

The announcements of display application companies under the subject of ‘Vision and Idea about Future Applications’are anticipated to confirm the present and future of the display market. Particularly, Yoshihiro Ono, Division Chief of Sony TV, is scheduled to make a presentation for Sony OLED TV, which was a major issue of OLED industry in 2017, on the background of adopting OLED, history of development of BRAVIA OLED TV, and differentiating points from other OLED TVs. In addition, Dr. Joel S. Kollin, head of Microsoft hardware & display, will be presenting HM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it is expected to see how it will affect the future display market.

Moreover, representatives from global companies such as 3M, Applied Materials, Corning and Cynora, and 28 specialists from OLED panel makers, set makers, material/equipment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es across the globe will make presentations with subjects of ▲ View from Panel Makers about OLED Market  ▲ Solution Process Technology, yet to come  ▲ New Performance Development from Major SCMs  ▲ New Technology Discussions for Next Generation Display or Better Process. Also, lectures are planned under the title of ‘Opinion from Business and Industry Analysts’from UBI Research, Japan Mizuho Securities, and Yole development, market research organization in France. More than 200 maj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perts and industry leaders are anticipated to attend the 4th OLED KOREA Conference, which can identify trends and development directions in OLED industry. Attentions are growing because the conference is planne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networking and continuous exchange of information and know-how.  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www.oledkoreaconference.com .

– End – ※ 【2018 OLED Conference】 → http://www.oledkoreaconference.com/

UDC, 2017 Total Revenue US$ 335.6 Million and Operating Income US$ 146.2 Million

UDC announced through its press release that the total revenue in Q4, 2017 increased 55% to US$ 115.9 million, compared to the same period of the previous year. In addition, the revenue from material sales increased 105% to US$ 59.8 million in the fourth quarter, compared with US$ 29.2 million in the fourth quarter of 2016.  Operating income increased by US$ 23.1 million to US$ 57.9 million in the fourth quarter, compared to the same period of 2016.

UDC recorded a tremendous growth in 2017. UDC’s revenues in 2017 totaled US$ 335.6 million, up 69% YOY, driven by higher material sales as well as royalty and license fees. Operating income increased by US$ 77.8 million to US$ 146.2 million in 2017, up 114% YOY.

UDC estimates that revenue in 2018 will be about US$ 350M ~ US$ 380M. This might reflect the lower shipments of iPhoneX than expected and the low utilization rate of Samsung Display. Meanwhile, UDC anticipates to see an another significant growth in 2019 because of the increase in OLED production area (about 50% increase is projected by the end of 2019).

UDC said on February 14, 2018 that it signed a contract with Samsung Display for OLED royalty. The contract period was known as until the end of 2022, and the other terms of the contract were not disclosed to the outside.

Galaxy S9 – Curious about Samsung’s strategy to launch Foldable Phone

Interests in Galaxy S9 and Note 9, which will be released soon, are growing. There are a lot of people who want to figure out in advance the features of Foldable Phone, which Samsung announced to be launched within this year, through Galaxy S9 and Note9. However, it is impossible to predict the specifications of the Foldable Phone with the contents that have been opened so far.

In general, Galaxy S9 does not seem to be much different, compared to the previous S8. The front fingerprint sensor, which has been anticipated since last year, may not apply, and it seems to adopt iris recognition and fingerprint sensor at the back side. Unlike the S8, which was noticed in the name of Infinity Display, it will not expect much different concept in the design part. The CPU will be equipped with Samsung’s Exynos 9810 chip, except for the US model.

So what is the strategy of the Galaxy series this year? Some say that iPhoneX’s sales volume is a failure, but if you consider adding iPhoneX to the 3-model lineup in the new 2-model lineup, Apple’s overall performance is a success. In the meantime, there seems to require a new strategy for the Galaxy flagship model, which was dominated by superior image quality with adopting OLED display.  The Galaxy S9 appears to have little change, except for a slight improvement in performance. Therefore, it is curious whether it might be Samsung’s planned intention to concentrate on launching the Foldable Phone.

<Spec Comparison for Galaxy flagship models>

 

유비리서치, ‘2018 OLED KOREA Conference’ 3월 7~8일 개최

글로벌 OLED 컨퍼런스인 OLED Korea Conference가 3월 7일 (수)부터 8일 (목)까지 개최된다.

이번 제 4회 OLED Korea Conference는 양일간 서울 노보텔 앰베서더 호텔에서 ‘OLED with opportunity & adding value to your business’라는 테마로 진행되며, 주제별 발표와 함께 다양한 정보와 의견 교환의 장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높은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는 OLED 산업은 올해 중소형 시장에서 LCD의 점유율을 넘어서고 대형 TV 시장도 크게 성장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OLED 전문 조사기관인 유비리서치에 따르면, Mobile 기기용 중소형 OLED panel 출하량은 올해 6.3억대로 작년 대비 53.2% 성장하고 TV용 OLED panel 출하량은 약 240만대로 작년 대비 47.2%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특히 OLED 시장 성장세가 뚜렷해짐에 따라 주요 업체들의 투자는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최근 LG디스플레이는 OLED 설비시설에 지난해 약 6조7000억원, 올해 약 9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며,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중화권 디스플레이 패널업체들의 OLED 투자가 공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에 이번 2018 OLED KOREA Conference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의 주요 패널업체인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Visionox, TCL, JOLED가 모두 모여 2018년 패널업체의 주요 사업이슈사항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라 업계 관련자들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Vision and Idea about Future Applications”라는 주제로 진행되는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 업체의 발표는 디스플레이 시장의 현재와 미래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작년 OLED 산업의 가장 큰 이슈 중 하나였던 소니 최초의 OLED TV의 대해 소니 요시히로 오노 TV사업부장이 OLED채택 배경, 브라비아 OLED TV 개발 역사, 타사 OLED와의 차별점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의 하드웨어/디스플레이를 총괄하고 있는 Joel S Kollin박사의 HMD에 대한 발표는 한국에서 최초로 진행되어 앞으로의 디스플레이 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 것 확인 할 수 있는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외에도 3M, Applied Materials, Corning, Cynora 등 선도 기업을 포함하여, OLED 패널 업체, set 업체, 재료/장비 업체, 대학/연구소 등 OLED display 관련 국내외 전문가 28명이 ▲ View from Panel Makers about OLED Market ▲ Solution Process Technology, yet to come ▲ New Performance Development from Major SCMs ▲ New Technology Discussions for Next Generation Display or Better Process라는 주제로 발표를 할 예정이다. 또한, 유비리서치와 일본 미즈호 증권, 프랑스 시장조사 업체 Yole development에서 ‘Opinion from Business and Industry Analysts’라는 제목으로 강연도 계획되어 있다.

특히OLED 산업의 동향과 발전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제 4회 OLED KOREA Conference는 200여명 이상의 국내외 주요 전문가 및 산업 종사자들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며, 네트워킹의 기회와 함께 관련 정보 및 노하우에 대한 지속적인 교류가 가능하도록 기획되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www.oledkoreaconference.com 에서 확인할 수 있다.

Galaxy S9 – 폴더블폰 출시를 앞둔 삼성전자의 전략이 궁금하다

폴더블 폰에 대한 발표 이후 그 전작으로 나올 갤럭시s9과 노트9에 대한 관심 역시 뜨겁다. 단계적으로 기술이 발전할 수 밖에 없는 만큼 갤럭시S9과 노트9를 통해 폴더블 폰의 스펙을 예상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공개된 내용으로는 폴더블 폰의 스펙 예상은 불가능해 보인다.

전반적으로 전작인 S8과 비교해 크게 달라지는 부분이 없어 보인다. 일단, 지난해부터 기대를 모으고 있던 전면지문인식센서는 적용되지 않으며 홍채인식과 후면지문인식센서를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라는 이름으로 디스플레이사이즈를 키우며 주목받았던 S8과는 달리 디자인부분에선 크게 다른 모델을 기대하지 않을 예정이며, CPU는 미주모델을 제외, 삼성의 Exynos9810칩 탑재로 향상된다.

그렇다면 올해 갤럭시 시리즈의 전략은 무엇일까? 일부에서는 iPhoneX의 판매량을 두고 실패작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지만 신규2모델 라인업에서 iPhoneX를 추가하여 3모델 라인업으로 변경한 것을 염두에 둔다면 전체적으로 애플의 실적은 성공적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 OLED 디스플레이의 적용으로 월등한 화질로 우위에 있었던 갤럭시 플래그쉽 모델의 새로운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약간의 성능이 향상된다는 것을 제외하면 크게 달라지는 것이 없어보이는 갤럭시 S9은 폴더블 폰 출시에 집중하고자 하는 삼성전자의 계획된 의도인지 궁금하다.

<갤럭시 플래그쉽 모델 스펙 비교>

UDC, 2017년 총 수익 335.6M US$와 순이익 103.9M US$ 기록

UDC는 보도자료를 통해 2017년 4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55% 증가한 115.9M US$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또한, 재료 매출은 2016 년 4 분기 29.2M US$에서 105 % 증가한 59.8M US$이며 영업이익은 2016 년 4 분기 대비 23.1M US$ 증가한 57.9 M US$이다.

UDC는 2017 년 엄청난 성장을 이루었는데, UDC의 2017 년 매출은 재료 매출 증대와 더불어 로열티 및 라이센스 수수료 수입 증대로 전년 대비 69 % 증가한 335.6 M US$를 기록했다.  2017 년 영업 이익은 77.8 M US$ 증가한 146.2 M US$로 전년 대비 114% 상승했다.

UDC는 2018 년 매출액을 350M US$ ~ 380M US$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iPhone X의 예상보다 낮은 출하량과 Samsung Display의 낮은 가동률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2019년에는 OLED 생산 면적의 증가 (2019년 말까지 약 50% 증가 예상)로 또 다시 가파른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UDC는 지난 14일 Samsung Display와 OLED 로열티 재계약을 채결하였다고 밝힌 바 있다. 계약기간은 2022년 말로 알려졌으며 구체적인 계약 조건은 외부에 공개되지 않았다.

Samsung Electronics, releases Galaxy S9 at MWC 2018

Samsung Electronics will unveil Galaxy S9, its next-generation strategic smartphone, at MWC 2018, held in Barcelona, Spain on February 25. Galaxy S9 is anticipated to be equipped with various features such as dual cameras for the first time at the Galaxy S series and intelligent scanning, so expectations for the Galaxy S9 are rising.

The Galaxy S series continued to increase in ppi and display area (DA), starting with the ‘Galaxy S’ in 2010. The first Galaxy S was introduced with 4 inch WVGA rigid OLED, with 235 ppi and 58% DA. For Galaxy S6 which is the first Galaxy S series adopted with flexible OLED, its ppi became more than doubled and DA was 70.7% increased by 22%, compared to Galaxy S.

<Evolution in ppi and DA for Galaxy S series>

Launched in 2017, the Galaxy S8 first extended the DA to 83.6% by removing the home button and minimizing the bezel for the first time on the OLED smart phone. Through these changes, Samsung Electronics introduced a full-screen OLED display.

According to the industry experts, Samsung Electronics is expected to implement full-screen by expanding DA to 93% with 5.8-inch OLED in Galaxy S9 to be unveiled at MWC 2018.

As the full-screen OLED smart phone has become very popular with consumers, Apple, LG, VIVO and Oppo have started to incorporate full-screen OLED into their flagship models. As a result, smart phones with full-screen OLEDs are expected to become main stream this year.

Meanwhile, it is estimated that 230 million units of flexible OLED panels will be shipped in 2018 according to the recently published ‘2018 OLED Panel Industry Report’. The size of OLEDs is expected to increase steadily for implementation of full screen. Moreover,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full screen is to be from current full screen or notch type (form of making holes in speaker and camera functions) to the form of real full-screen displays, in which they (speaker and camera parts) are not visible on the front display.

<Expected development direction for full-screen>

 

삼성전자, MWC 2018에서 Galaxy S9 공개

삼성전자는 오는 25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는 MWC 2018에서 차기 전략 스마트폰인 Galaxy S9을 공개한다. Galaxy S 시리즈 최초로 듀얼 카메라와 인텔리전트 스캔 등 다양한 신기능이 탑재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Galaxy S9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Galaxy S 시리즈는 2010년 ‘Galaxy S’를 시작으로 ppi와 DA(display area)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처음 출시 된 Galaxy S에는 4 inch WVGA rigid OLED가 적용되었으며, ppi는 235, DA는 58%였다. Galaxy S 시리즈 최초로 flexible OLED가 적용된 Galaxy S6의 ppi는 Galaxy S 대비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DA는 22%증가한 70.7%이다.

<Galaxy S 시리즈의 ppi와 DA변화>

2017년 출시 된 Galaxy S8는 OLED smart phone 최초로 홈버튼을 제거, bezel을 최소화를 통해DA를 83.6%까지 확장시켰다. 이를 통해삼성전자는 전면을 OLED로 채우는 full-screen을 구현하였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번 MWC 2018에서 공개할 Galaxy S9에도 5.8 inch OLED를 탑재, DA 93%까지 확장시켜 full-screen를 구현할 것으로 전망된다.

Full-screen 형태의 OLED smart phone이 소비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일으키며, Apple과 LG, VIVO, Oppo 등은 플래그십 모델에 full-screen형태의 OLED를 탑재하기 시작하였다. 이로 인해 올 한해 full-screen형태의 OLED가 탑재된 smart phone은 대세를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유비리서치는 최근 발간한 ‘2018 OLED Panel Industry Report’를 통해 2018년 flexible OLED는 2.3억 개 출하될 것이라 전망하였다. 또한, OLED의 size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full-screen 또는 notch 형태(스피커와 카메라 부분에 hole을 만드는 형태)에서 스피커와 카메라가 전면 디스플레이에 보이지 않는 real full-screen 형태로 개발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하였다.

<예상되는 full-screen 개발 방향>